최종편집 : 2025-08-17 13:34 (일)
체불사업주 임금지불 위한 융자 받기 쉬원진다
상태바
체불사업주 임금지불 위한 융자 받기 쉬원진다
  • 엄정애 기자
  • 승인 2013.08.29 09: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체불사업주가 융자를 받기 위해서 체불임금의 50% 이상을 선지급해야 하는 조건이 사라진다.

고용노동부는 융자제도 이용요건을 대폭 개선된 '임금채권보장법 시행규칙'이 29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종전에는 300인 이하 사업장을 운영하는 사업주가 퇴직 근로자의 체불임금을 청산하고자 정부에 융자를 받으려면 체불임금의 50% 이상을 근로자에게 미리 지급해야 최고 5000만원(근로자당 600만원)을 융자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미 경제적 어려움으로 임금을 지급하지 못한 사업주에게 체불임금의 절반 이상을 선지급해야 하는 조건은 현실적으로 어려워 이를 삭제한 것이다.

또 기존의 융자요건에 '거래 상대방으로부터 거래대금을 받지 못하 경우'도 추가돼 이 제도의 수혜대상이 늘어날 전망이다.

이전에는 재고량 50% 증가, 생산량 15% 감소, 매출액 15% 감소 등의 요건이 있어야 사업주가 일시적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는다고 판단돼 융자를 받을 수 있었다.

정부의 융자로 체불임금을 받을 수 있는 퇴직근로자의 범위도 기존 퇴직 6개월 이하 근로자에서 퇴직 후 1년 이하 근로자까지 확대됐다.

또 10인 미만 도산기업의 근로자가 정부에 체불임금을 받을 수 있는 절차를 알려주는 '공인노무사 조력지원 제도'의 지원금이 사업장당 100만원에서 150만원으로 인상된다.

체불청산지원 사업주 융자제도는 해당 사업장이 속한 전국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신청·이용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