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8 16:37 (화)
'생활안전지도 활용해 우리 아이 걱정던다'…정부, 안전망 시범구축
상태바
'생활안전지도 활용해 우리 아이 걱정던다'…정부, 안전망 시범구축
  • 김지원 기자
  • 승인 2013.08.28 09: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중학교 교사인 김모(여·26)씨는 얼마 전 늦은 밤 퇴근하는 중에 동네의 한적한 공원에서 건장한 청년 10여명이 모여 음주·흡연을 하고 있는 장면을 목격했다. 학생들에게 밤늦게 이 지역에 다닐 때는 조심하라고 얘기해야겠다고 생각하던 차에, 동료 교사로부터 안전행정부의 '안전한 지역만들기 포털' 얘기를 듣고 바로 방문해 보았다. 포털에는 이미 많은 주민들이 동네 인근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관련된 정보를 생활안전지도로 공유하고 있었다. 이에 김씨도 그날 목격한 사건의 정확한 위치와 내용을 '생활안전지도' 위에 표시해 게시했다.

# 직장인 신모(42)씨는 어린이 유괴나 성추행, 각종 안전사고 등의 뉴스를 접할 때면, 초등학교 3학년 딸아이 걱정에 항상 불안하다. 어린 딸을 키우는 맞벌이 부부로서 직장에 있는 낮 시간 동안은 아이를 돌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안전행정부에서 공개한 생활안전지도 덕분에 근심을 덜게 되었다. 생활안전지도에는 유괴나 성추행 등으로부터 아이가 마음 놓고 놀 수 있는 안전구역이 표시되어 있었고, 다행히 자주 가는 놀이터가 안전구역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등하굣길에 위치한 공사장과 트럭들이 드나드는 진입로 등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곳도 상세하게 안내하고 있었다. 주말에는 스마트폰 안전지도서비스를 이용해 아이 손을 잡고 함께 안전한 하굣길을 돌아볼 예정이다.

안행부는 이처럼 '안전정보통합관리시스템 및 국민생활안전지도 시범구축 사업'을 시작하며 '국민안전 종합대책'의 구체적 실현을 개시한다고 28일 밝혔다.

안전정보통합관리시스템은 그동안 부처별로 개별 관리되고 있던 재난·교통·생활안전사고 및 범죄정보 등 다양한 안전정보를 통합데이터베이스(DB)로 만들어 국민 생활안전에 필요한 정보를 인터넷이나 모바일을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제공되는 대표적인 서비스는 ▲생활안전지도(인터넷·스마트폰) ▲안전지수 ▲안전한 지역만들기 포털 ▲지역 안전진단 및 컨설팅 ▲재난예측·분석 기능 등이다.

안행부는 생활안전지도는 올해 4대 분야(범죄·재난·교통·생활안전)에 대해 10여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시범 구축해 내년 상반기에 시범서비스를 개시하고, 하반기에 전 지역으로 범위를 확대해 공개한다.

생활안전지도가 구축되면 경찰서·소방서·CCTV 등 안전시설의 위치와 범죄발생 지역의 영향권을 분석해 어린이들에게 안전한 등하굣길을 안내하거나 여성이 밤길을 편안하게 다닐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이와함께 자치단체나 경찰서가 지역의 사고 위험시설을 개선하거나 위험지역의 순찰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정보도 함께 제공된다.

안전지수는 올해 유형별(범죄·재난·교통 등)로 핵심 안전지표를 지수화해 개발하고 내년에 시범 시군구에 먼저 제공헤 보완한 후, 2015년부터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공개할 방침이다.

안행부는 올해 우선적으로 25억원을 투자해 ISP와 시범구축을 추진하고, 2015년까지 약 200여억원(잠정)을 투자해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유정복 안행부 장관은 "이 시스템이 구축되면 자치단체 별로 종합적인 안전정보를 바탕으로 안전대책을 시행할 수 있어 국민의 생활 안전도가 크게 높아질 것이라 기대한다"며 "이번 시범사업을 계기로 앞으로도 안전정보 공유 및 기관간 협업을 통해 국민이 체감하는 안전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보완·발전시켜 국민의 행복과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