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17 13:34 (일)
정부 "우윳값은 시장논리에 맡길 것"
상태바
정부 "우윳값은 시장논리에 맡길 것"
  • 엄정애 기자
  • 승인 2013.08.13 11: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재정부 물가정책 담당 책임자는 최근 우유값 갈등과 관련, "정부가 우유가격을 놓고 주관적으로 이번 상황을 풀어갈 계획은 없다"고 13일 밝혔다.

그는 이어 "현재 우유제조업체가 가격 인상에 난항을 보이고 있는 것은 알고 있지만 가격 문제에 직접 개입을 할 수 없는 것이 우리의 입장"이라며 "예전에도 그랬듯이 앞으로도 이같은 사안은 시장경제 논리에 맡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같은 입장은 기재부뿐만이 아니라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도 마찬가지 . 지난 6월말 낙농진흥회 이사회는 8월1일부터 원유가 106원 인상을 결정했고, 농식품부는 이를 그대로 받아들였다.

당시 농식품부는 "우유업계와 유통업계가 시장원리를 고려해 합리적인 가격을 정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직접적인 개입은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우유제조업계와 소비자단체, 유통업계가 조율을 통해 알아서 풀어나가라는 말이다.

하지만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 3인방은 먼저 제동을 건 농협 하나로마트를 따라 가격 인상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가격을 올리겠다는 계획을 유통업계가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우유업계는 '일단 스톱'을 외칠 수밖에 없다.

이는 대부분의 제품이 대형마트에서 소비되고 있고, 유통기한이 짧아 납품 중단 등 '극단적'인 선택을 할 경우 천문학적인 금액의 손해가 발생하기 때문.

여기에 더해 유통업계의 요구대로 우유업계와 소비자단체가 합의안을 도출하더라도 상황은 간단하게 풀리지 않을 것으로 보이고 있다.

농협 하나로마트 관계자는 "일단 소비자단체와 우유제조업체가 협의를 통한 가격이 나온다하더라도 이를 무조건 받아들이겠다는 것은 아니다"며 "시일이 걸리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검토를 한 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에 대해 우유업계 관계자는 "원유가 인상된 이후 (협상이 진행되지 않아) 우유업계가 막대한 손해를 끌어안고 있고 이같은 사태가 정부의 압박 때문인 것은 누가 봐도 아는 사실"이라며 "이같은 상황에서 정부가 갑(유통업계)을 이용해 시장질서를 왜곡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