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8 16:37 (화)
국민 대다수 "4대惡 중 학교폭력·성폭력 우선 뿌리 뽑아야"
상태바
국민 대다수 "4대惡 중 학교폭력·성폭력 우선 뿌리 뽑아야"
  • 엄정애 기자
  • 승인 2013.08.02 10: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 국민 상당수가 우리 사회 4대악(성폭력·가정폭력·학교폭력·불량식품) 중 성폭력과 학교폭력을 가장 시급히 뿌리 뽑아야한다는 의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행정부는 2일 국무총리 주재 국가정책조정회의에 이 같은 내용의 '4대악 국민안전 체감도 조사결과'를 보고했다.

이번 조사는 안행부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18~25일 전국 19세 이상 일반성인 1000명, 전문가 100명, 중고생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4대악 중 최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분야로 국민, 전문가, 중고생 모두 성폭력과 학교폭력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성폭력에 관해서는 일반국민 54.3%, 전문가 41%, 중고생 52.7%가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특히 여성 상당수(성인 66.9%, 중고생 67.9%)는 '불안하다'고 응답해 정부가 성폭력 대책을 더욱 강력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학교폭력은 일반국민 68.6%, 전문가 70%, 중고생 56.7%가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해 성폭력·가정폭력에 비해 불안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으로부터 안전하지 않은 이유로 일반국민과 중고생은 '가해자 처벌과 재범방지 노력 미약'을 꼽았다. 반면 전문가는 '예방교육 부족 및 학교폭력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이유로 들었다.

이와 함께 일반 국민 중 30.4%는 '우리나라 사회 전반에 대해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44.6%는 '보통'이라고 응답했고, 나머지 24.2%는 '안전하다'고 답했다.

정부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전문가들은 안전체감도가 상대적으로 높게(안전하다 34%, 보통이다 29%, 안전하지 않다 37%) 조사됐다.

반면 안전 취약계층에 속하는 중고생들은 안전체감도가 낮은 것으로(안전하다 19.7%, 보통이다 28.1%, 안전하지 않다 52.2%) 분석됐다.

아울러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안전정책이 강화됐느냐'는 질문에 38.1%는 '강화됐다'고 답했으며, 29.8%는 '강화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국민안전 체감도 조사결과를 처음 발표한 안행부는 앞으로 일반 국민은 매월(연 12회), 전문가와 중고생은 분기별(연 4회)로 체감도 조사를 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6개월마다 월별 조사결과의 평균값과 추세, 목표관리지표 실적 등을 국민들에게 공개할 방침이다.

이경옥 안행부 제2차관은 "박근혜정부가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국민안전에 관한 첫 체감도 조사결과라는 데 그 의미가 있다"며 "안전정책조정회의를 통해 중고생을 비롯한 안전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안전대책을 강화하고 현장중심 안전대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