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4 12:02 (월)
코로나19에 '위약금 대란'…정부 "위약금 면제 강요 불가"
상태바
코로나19에 '위약금 대란'…정부 "위약금 면제 강요 불가"
  • 이교엽 기자
  • 승인 2020.03.10 17: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후 여행·결혼식 등 상담 1.5만건
전년比 7.8배 폭증…피해 구제 614건 신청
▲ 브리핑하는 송상민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정책국장.
▲ 브리핑하는 송상민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정책국장.

코로나19 확산 이후 여행·결혼식 등 취소 위약금과 관련한 분쟁이 평소보다 약 8배가량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송상민 공정위 소비자정책국장은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 19 위약금 분쟁 관련 대응 현황’ 브리핑을 열고 “지난 1월 20일부터 이달 8일까지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위약금 관련 소비자 상담 건수는 1만4988건(5개 업종)”이라고 밝혔다.

국외여행업 6887건, 항공여객운수업 2387건, 음식서비스업 2129건, 숙박업 1963건, 예식서비스업 1622건 순으로 많았다. 

또 1월 20일~3월 8일 한국소비자원에는 코로나19 위약금 관련 피해 구제 신청이 614건 접수됐다.

이중 136건(22.1%)은 사업자-소비자 간 합의가 이뤄졌고, 95건(15.5%)은 신청자의 취하 등으로 종결됐다. 34건(5.5%)은 분쟁 조정 절차로 이관됐다.

이와 관련해 공정위는 지난 2월부터 한국여행업협회·한국예식업중앙회 등 관련 사업자 단체와 간담회를 열고 중재에 나섰다.

그 결과 여행업협회는 ▲입국 금지, 강제 격리 국가로의 여행 취소는 위약금 없는 환불이 합리적이다(다만 신혼여행 등 특화 상품은 현지 여행사 및 숙박업소의 위약금 부과 여부에 따라 다르며, 여행사가 현지 여행사 및 숙박업소에서 환불을 받은 뒤 소비자에게 환불할 수 있음) ▲검역 강화 단계 국가는 여행이 가능하므로 약관에 따라 위약금을 부과한다 등의 입장을 내놨다.

예식업중앙회는 ▲소비자가 3~4월 예정된 결혼식의 연기를 희망하는 경우 소비자가 이행 확인서를 작성할 때 위약금 없이 3개월까지 연기할 수 있도록 회원사에 공지하겠다 ▲취소의 경우 위약금을 감경하도록 회원사를 독려 중이나, 고정 비용을 고려할 때 위약금 전액 면제는 어렵다 ▲혼주 요청 시 최소 보증 인원을 조정·감축할 수 있도록 회원사에 요청하겠다 등이다.

다만 “이런 내용은 사업자 단체가 각 회원사에 강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개별 여행·예식 업체의 환불 정책과 다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숙박업소의 경우에는 별개라는 설명이다. 

송 국장은 “소비자가 숙박업소도 위약금 없이 환불받을 수 있는지는 구체적인 사유를 특정해 더 살펴본 뒤에 말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