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리볼빙 금리를 낮추려는 신용카드사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지만, 리볼빙 서비스 이용자 중 고금리를 적용받는 소비자는 되레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KB국민카드의 대출성(현금서비스) 리볼빙을 이용한 회원 중 64.3%는 26~30%의 금리를 적용받았다. 이는 지난해(51.8%)보다 13% 포인트 가량 높은 수치다.
롯데카드도 지난해보다 4.9% 포인트 증가한 36.8%의 고객이 이같은 금리를 적용받았고, 현대카드(45.9%, 2.9%p↑), 신한카드(11.9%, 4.1%p↑), 하나SK카드(24.4%, 1.1%p↑) 등도 마찬가지였다. 삼성카드만 10% 포인트 가량 줄어든 47.6%를 기록했다.
리볼빙 서비스는 카드 사용액의 최소결제비율(5~10%)만 내면 나머지 금액은 대출 형태로 갚게 되는 제도다
지난 4월부터 각 카드사들이 일제히 리볼빙 서비스의 최저금리와 최고금리 구간을 낮췄지만, 고금리 적용 고객은 오히려 늘었다.
금리를 내렸는데도 고금리 고객 비중이 늘어난다는 것은 리볼빙 서비스를 이용하는 저신용자가 늘어났다는 것을 뜻한다. 리볼빙은 신용등급에 따라 5~30%의 금리를 적용받으며, 사용자의 신용등급에는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최근 경기불황이 이어지면서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들이 리볼빙 서비스를 통해 신용카드 채무의 상환을 늦추려 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들로 인해 고금리 적용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현상은 최근 수익성 악화가 현실로 다가온 카드업계에 또 다른 암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리볼빙 서비스 특성상 서비스를 받은 이들의 상환능력이 악화되면 한도를 넘은 이용금액이 부실화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사실상 카드 돌려막기나 마찬가지이기에 리볼빙 서비스의 잔액이 6조원 대에서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는 현 상황에서 신용등급이 낮은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카드업계에는 적신호다.
또 다른 관계자는 "고금리 적용 고객들이 늘어나면서 카드사들은 이에 대한 위험 관리에 신경 쓸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당국은 아직 우려할 만한 단계가 아니라고 진단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리볼빙 잔액(6조원)의 규모가 전체 카드 결제금액과 비교할 때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 않다"며 "일단은 총량이 늘어나는 현상이 보이진 않기에 걱정할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