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CTV를 이용해 학교주변이나 통학로 일대 어린이들의 위험한 상황을 미리 확인해 대처하고, 도난 또는 수배 중인 문제 차량을 감지해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한 시대가 온다.
행정안전부는 현재 전국 시군구 CCTV 통합관제센터가 이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능형 통합관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CCTV 통합관제센터는 방범, 교통·주차단속, 쓰레기 무단투기 단속, 재난·재해 감시, 어린이보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시·군·구에 설치된 CCTV 관제기능을 하나로 통합해 운용한다.
지능형 통합관제는 사람의 행동패턴을 인식하거나 차량번호를 자동 감지 또는 추적하는 지능형 기술을 CCTV 관제에 활용한다.
수배 차량이나 어린이 안전을 위협하는 행동(학교 울타리 침입, 배회, 불법주정차) 등이 CCTV에 잡히면 관제모니터에 경보가 울려 통합관제센터에 24시간 상주하고 있는 경찰관이나 관련기관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행안부는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해 운영 중인 지자체를 대상으로 관련 사업 공모를 실시한 결과 10개 시군구에서 응모해 서울 노원구(어린이 안전)와 관악구(문제차량 자동감지)를 각각 선정했다. 이들 지자체에는 사업비 각 3억5000만원씩 총 7억원의 국비가 지원된다.
시범 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지능형 서비스 모델을 개발해 전국 시·군·구 CCTV 통합관제센터로 확대할 계획이다.
장광수 행안부 정보화전략실장은 "최근 학교폭력, 강력범죄 등 각종 생활안전 사건의 해결수단으로 CCTV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며 "향후 지능형 통합관제 서비스 확대로 시·군·구 CCTV 통합관제센터가 더욱 능동적인 국민 생활 안전지킴이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