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20년까지 핵심 방산소재 개발을 통한 무기성능 개선 및 국방예산 절감을 위해 800억원이 투입된다.
지식경제부와 방위사업청은 29일 서울 양재동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핵심방산소재개발 협력 MOU'를 체결하고 방산소재 창출을 위해 공동 노력키로 합의할 방침이다.
'핵심방산소재개발'은 2020년까지 민간산업과 육해공 군수용으로 활용이 가능한 10대 신소재 창출을 위한 중장기 연구개발사업을 말한다.
지경부 관계자는 "방사청과의 MOU 체결은 무기 체계의 성능 혁신을 구현하기 위한 군사용 및 산업용 신소재 분야에서 민군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기 때문"이라며 "지경부는 국방 수요를 반영해 응용기술을 개발하고 방위사업청은 개발된 방산소재의 무기체계로의 적용을 지원하는 한편 공동시험평가, 방산기술정보 제공 등의 활동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
체결식 후에는 '방산소재 민관위원회'가 1차 회의를 갖고 방산소재 후보과제 발굴을 위한 첫 모임을 갖는다. '민관위원회'는 지식경제부 국장과 방산기업 CTO를 공동위원장으로 지경부, 방사청, 국방연구기관, 방산소재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민관위원회는 오는 7월까지 국방소재 기술분야 종합발전방향 및 국방과학기술진흥실행계획에 따라 톱-다운식으로 10개의 핵심 방산소재를 개발한다. 지경부는 이를위해 약 800억원을 투입한다.
이어 '소재부품전략위원회'는 60억원을 투자, 올 지원할 5개의 소재를 최종 확정해 선순환형 R&D를 추진하고 내년도에도 5개 과제를 추가 선정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행사에는 방산기업 및 국방과학연구소, 민간연구소 등 8개 기관과 업체에서 개발중이거나 개발을 완료한 방산소재 및 이를 적용한 제품 전시회를 함께 연다.
액체방탄복, 미사일용 세라믹돔, 야간투시경용 적외선 광학렌즈, 전자파흡수 복합소재, 폐TNT 재활용 소재 등 15개 품목이 전시될 예정이다. (표 제공:지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