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선 출마를 선언한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은 25일 대선 공약으로 "70세 이상 30년 넘게 농사를 지은 농민에게 '농민노령연금'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농촌에 가면 나이 80이 넘어도 하루에 3만원을 벌기 위해 일을 나가시는 할머니들이 많은데, 그냥 보고 있을 수는 없지 않느냐"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70세 이상 되고 한 마을에 30년 이상 농사를 지으신 분들에게는 연금을 줘야 된다는 것이 제 소신"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18일부터 '49박50일' 동안 민생탐방에 나선 그는 "내달 5일이면 전국 234개 시군을 다 돈다"며 "그때 돌아보고 느낀 것을 종합해서 대선 공약으로 발표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이어 부산저축은행 로비스트 박태규씨를 둘러싼 새누리당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민주통합당 박지원 원내대표 및 비상대책위원장의 맞고소 등 법적 공방과 관련 "그건 두 사람의 문제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이 의원은 "이는 그야말로 사적인 문제이다"며 "정당 간의 문제도 아니고, 제 3자가 끼어들 여지가 없는 문제"라고 말했다.
특히 "어떤 (대선)주자든 간에 국민들이 의혹을 갖는다면 그건 그때그때 털고 가야지, 안고 가서 득될 게 없지 않겠나"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대선 경선 룰'을 묻는 진행자의 질문에 "지금 당의 룰 가지고는 젊은 표심이나 중간층에 있는 표심을 끌어들이기에는 부족하다"며 "당원들끼리 좀 더 좋게 말하면 당권파들끼리의 잔치에 불과하고 전체 국민의 표심을 얻기는 부족하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대선 주자 가운데 김문수·정몽준·이재오 등 이른바 '비박(非 박근혜) 3인방'이 단일화해 박근혜 전 대표와 맞설 것이라는 여론에 대해서는 "그런 얘기는 있지만, 국민을 상대로 대통령이 되려고 하는 것이지 특정인을 대상으로 대통령이 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도 '완전국민경선제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다"며 단일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