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8 16:37 (화)
우편물 택배, 128년만에 민간 개방…CJ대한통운 '1호'
상태바
우편물 택배, 128년만에 민간 개방…CJ대한통운 '1호'
  • 추인영 기자
  • 승인 2012.05.22 09: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J대한통운이 민간 최초로 우편물을 택배로 배송하는 서비스를 시작한다. 1884년 우정총국 설립 이후 128년 만이다.

CJ대한통운는 우편물 전문 배송서비스인 '원메일'을 시작한다고 22일 밝혔다. 원메일은 '고객을 첫째(넘버 원)로 생각하고, 고객이 선택하는 유일한(One) 서비스를 구현한다'는 의미다.

전화(1588-1255)나 스마트폰 앱, 인터넷 등을 통해 접수하면 택배기사가 방문해 배송한다. 전국 CJ대한통운 택배취급점을 통해서도 접수할 수 있다. 요금은 택배기사 방문 접수시 3000원, 고객이 직접 취급점에 접수시킬 경우 2800원으로 전국 어디로 보내든 동일하다.

CJ대한통운은 원메일 이용 고객에게 우편물 보호용 파우치를 무상으로 제공한다. 또 원메일 서비스 출시를 기념해 CGV, VIPS 이용권과 투썸플레이스, 뚜레쥬르 상품 교환권 등 CJ그룹 계열사의 다양한 상품을 경품으로 제공하는 이벤트를 실시한다.

CJ대한통운은 향후 우편물 물량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이에 대비해 전용 분류시설과 설비를 확충할 계획이다.

한편 민간 업체의 우편물 배송 사업은 지난해 말 우편법 일부 개정안이 공포되면서 가능해졌다. 이전까지 우체국이 위탁한 업체 외에는 우편물을 배송하지 못했었다.

개정안 공포로 중량 350g을 초과하거나 기본요금의 10배인 2700원 이상인 우편물은 지식경제부장관에게 서신송달업 신고를 한 업체에 한해 배송할 수 있게 됐다. 이외에도 신문, 정기간행물, 서적, 상품안내서(카탈로그) 등 비서신류 우편물도 배송할 수 있다. CJ대한통운은 서신송달업 신고 1호 업체다.

연간 한국 전체 우편물 수량은 2010년 기준 48억5000만개로 금액으로는 1조8614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이 중 민간업체가 취급할 수 있도록 우선 개방된 물량은 금액으로 3371억원 가량이다.

일본의 경우 지난 1986년 야마토운수가 민간업체로는 처음으로 택배우편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사가와규빈 등 민간업체들의 취급물량이 지속적으로 늘었다. 2010년 기준 택배우편 물량은 52억4000만개로 이 중 50% 정도는 민영화된 우체국이 취급하고 있다. 이 가운데 야마토운수가 44.1%, 민간 8개사가 나머지 5.9%를 취급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