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비용을 가장 많이 쓴 후보는 통합진보당 김선동(전남 순천시곡성군)후보이고 후보자 1명당 사용한 평균 선거비용은 1억2853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21일 4·11 총선 지역구 후보자들의 수입 및 지출 명세서 등 선거비용을 신고받아 홈페이지에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46개 지역구 후보자 931명의 총 선거비용은 1196억6416만원에 달했다.
평균 선거비용은 1인당 1억2853만원으로 지난 18대 총선 당시 평균 1억2730만원과 비교해 소폭 올랐다.
선거비용을 가장 많이 지출한 후보는 통합진보당 김선동 의원으로 2억5699만원을 신고했다. 2위는 강기갑(경남 사천시남해군하동군) 의원으로 2억4500만원을 지출했다.
이어 ▲민주통합당 노관규(전남 순천시·곡성군) 후보 2억3721만원 ▲무소속 이방호(경남 사천시·남해군·하동군) 후보 2억3291만원 ▲새누리당 정병국(경기 여주군·양평군·가평군) 당선자 2억3154만원 등의 순이었다.
이는 해당 지역구의 선거비용 제한액이 높은데 따른 것이다. 지역구별 선거비용 제한액은 인구수나 지역 면적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전남 순천시·곡성군의 경우 선거비용 법정제한액은 2억6000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으며 전남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2억5200만원), 경남 사천시·남해군·하동군(2억4500만원) 등이 뒤를 잇고 있다.
반면 자유선진당 서보강(대구 달성군) 후보와 무소속 윤한울(부산 남구을) 후보는 선거비용을 한푼도 쓰지 않았다고 신고했다.
선관위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회계보고서는 제출이 돼 있지만 지출이 전혀 없다고 신고했다"며 "진짜인지 아닌지는 사실확인을 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국민행복당 최상면(경기 성남시수정구) 후보 149만8000원 ▲무소속 박찬일(충남 당진시) 후보 183만1700원 ▲기독당 황옥성(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 183만5218원 등의 순으로 신고액이 낮았다.
법정제한액을 초과해 신고한 경우도 있었다. 통합진보당 문성현(경남 창원의창), 통합진보당 유현주(광양시·구례군), 무소속 유인학(전남 장흥군·강진군·영암군) 후보는 선거비용 제한액보다 각각 138만원, 163만원, 375만원씩을 더 지출했다.
하지만 실제로 후보자들이 이번 총선을 치르면서 지출한 비용은 이보다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된다. 예비후보자 시절 지출한 인터넷 홈페이지 관리비나 선거사무소 설치 유지비 등 일반정치자금은 선거비용에 포함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법정선거비용에는 명함제작비, 선거공보제작비, 유세차량 설치운영비, 선거사무장 인건비 등 선거운동에 직접 들어간 비용만 포함되고 있다.
한편 선거비용 신고는 출마자가 국가로부터 비용을 보전받기 위해 실시되고 있다. 현행 공직선거법은 선거공영제의 일환으로 출마자가 일정 비율 이상을 득표할 경우 선거운동에 소요된 비용을 되돌려 주도록 규정하고 있다.
득표율이 10~15%인 후보자는 50%를, 득표율에 관계없이 당선됐거나 15% 이상 득표한 후보는 전액을 돌려받는다. 득표율이 10% 미만일 경우는 단 한 푼도 돌려받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