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은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5%로 0.2%포인트 낮췄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2월 전망치인 3.3%보다 0.1%포인트 낮은 3.2%로 수정했다.
16일 한국은행은 '2012년 경제전망(수정)'을 통해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상반기 3%, 하반기 3.9%로 연간 3.5%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해 12월 내놓은 전망치 3.7%보다 0.2%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한은 관계자는 "유로지역 국가채무 문제와 관련한 불확실성 완화는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요인"이라면서도 "세계 경제성장률의 하향 조정과 원유 도입가 상승 등 성장률 하락 요인이 우세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경제성장 전망치는 세계경제 성장률을 종전의 3.6%에서 3.4%로 수정한 것을 전제로 했다. 세계 교역 신장률 전망도 5.4%에서 4%로 대폭 낮췄다. 특히 국제 유가가 고공행진을 하면서 원유도입단가는 배럴당 102달러에서 118달러로 높아진 것에 기초했다.
한은은 올해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증가하면서 민간소비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교역조건이 악화된 데다 지난해 4분기 실적이 저조한 수치를 기록하면서 민간소비 전망을 종전보다 0.4%포인트 낮은 2.8%로 수정했다. 무엇보다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원리금 상환 부담과 주거비, 유가 관련 비용 증가 등은 소비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이다.
수출 전망은 유로지역의 경기 부진에 따른 세계 교역 신장세 둔화로 종전 5%에서 4.8%로 낮춰 잡았다.
한은은 올해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지난해 265억 달러에서 올해 145억 달러로 절반 가까이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서비스수지 적자폭이 당초 예상보다 축소되면서 지난 12월 전망(130억 달러)에 비해서는 흑자 규모가 소폭 확대됐다.
반면 설비 투자는 IT부문을 중심으로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건설 투자는 주거용과 비주거용 모두 완만하게 증가하면서 당초 예상치인 4.2%보다 높은 6.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로써 올해 경제성장률(전기대비) 전망은 상반기 중 1% 내외를 나타내 지난해 4분기(0.3%)의 부진에서 벗어날 것이라는 관측이다. 하반기 이후에는 성장률이 1%대 초반 수준으로 높아지면서 경기도 완만하나마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4%대를 기록했던 물가 상승 압력은 소폭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상반기 3.1%, 하반기 3.2%로 연간 3.2%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연말 예상치인 3.3%보다 0.1%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한은 관계자는 "보육료 지원 및 무상급식 확대로 올해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4%포인트 내외에서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며 "상반기 중에 예정된 공공요금 및 가공식품 가격 인상이 늦춰진 것도 물가 안정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은 3.3%에서 2.6%로 0.7%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 지수는 연간 2.7% 상승률에서 0.5%포인트 낮춘 2.2%로 예상했다.
올해 취업자수는 35만명이 늘어나 12월 전망치인 28만명보다 증가폭이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실업률은 지난해(3.4%)보다 낮은 3.3% 내외 수준을 예상했다.
한은은 "이번 경제 전망은 지난 12월 전망에 비해 불확실성이 다소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며 "유로지역의 재정위기와 지정학적 위험에 따른 유가 급등 등 성장경로는 하방 리스크가 우세하다"고 평가했다.
한편 한은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4.2%로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