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금융감독원에 제출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5개(12월 법인·순익 기준) 명품업체의 지난해 순이익 대비 기부금은 0.3% 수준이다.
연간 수백억원의 순이익을 내면서 사회공헌은 둿전인 셈이다. 국내 기업들의(2009년 전경련 사회공헌백서) 세전이익 대비 사회공헌 비중이 평균 1.83%인 것을 감안하면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특히 불가리, 시슬리 등은 기부금을 한푼도 내지 않았다.
루이비통코리아는 지난해 448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2010년 400억원에 비해 12% 성장한 것이다.
작년 기부금은 2010년보다 4배 가량 늘어난 2억1100억원을 지출했다. 이는 이 회사가 과거 10년 동안 지출한 기부금과 맞먹는 수준이다. 다만 여전히 순이익 규모이 비하면 적다는 지적이다.
구찌코리아는 지난해 순이익이 236억원을 올려 2010년 115억원에 비해 2배 넘게 성장했다. 기부금은 2010년 3728만원에 비해 늘어난 5648만원을 지출했다.
페라가모코리아 역시 작년 순이익이 163억원으로 2010년 113억원에 비해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기부금은 소폭 늘어난 2993만원(2010년 2746만원)에 불과했다.
불가리코리아와 시슬리코리아는 지난해에도 기부금을 한 푼도 내지 않았다. 두 회사는 지난해 각각 75억원, 48억원을 순익을 올렸지만 한국 사회공헌에는 등을 돌린 셈이다.
반면 이들 명품업체들은 벌어들인 수익의 대부분을 본국에 송금한다. 시슬리코리아의 경우 작년 48억원 순익 가운데 45억원을 배당해 프랑스 본사로 보냈다.
2007년(75억원 순익·60억원 배당), 2008년(73억원 순익·70억원 배당), 2009년(74억원 순익·70억원 배당), 2010년(53억원 순익 50억원 배당) 등 최근 5년간 한국에서 벌어들인 323억원 가운데 295억원을 본사로 가져갔다. 순이익 대비 평균 배당율이 95%에 달한다.
시슬리 뿐만 아니라 대다수의 명품 업체들이 국내에서 엄청난 이익을 내고 본사에 대부분을 송금하면서 기부는 물론이고, 한국 내 재투자를 위해 남긴 돈은 거의 없는 수준이다.
명품업체들이 국내 시장을 '돈벌이 용'으로만 여기고 있다는 비난이 끊이지 않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