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잇단 추락사고로 안전성 논란이 제기된 보잉 B737 맥스8 항공기 국내 도입 항공기에서도 결함이 발생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를 보유한 이스타항공은 단순 결함으로 정비를 통해 조치를 취했고 안전운항에는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국회 국토교통위 홍철호 의원(자유한국당)은 26일 “이스타항공이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도입한 ‘보잉 B737 맥스 8’ 2대에서 이달까지 자동추력장치 고장 등 총 44건의 결함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홍 의원에 따르면 결함은 자동추력장치 고장, 기장석 비행관리컴퓨터 부작동, 공중충돌방지장치 고장, 관성항법장치 신호 디스플레이 미표시 등이다.
지난 7일 운항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자동추력장치가 기체 상승 중 재작동하지 않는 현상이 발견됐다. 항공기 상승 중 기체 운항속도가 떨어지면 자동추력장치가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적정 속도까지 높여줘야 하지만 작동하지 않은 것이다.
지난달 20일엔 공중추돌방지장치가 고장났고, 같은 달 27일엔 기장석 비행관리컴퓨터가 작동하지 않았다. 이달 10일 관성항법장치 신호가 디스플레이 유닛에 나타나지 않은 현상도 발견됐다.
그런데도 국토교통부는 해당 항공기 도입 당시 자체 안전성(감항성)을 확보했다고 판단, 이스타항공에 감항증명서를 발급했다고 홍 의원이 전했다.
홍 의원은 “보잉 737 맥스8 기종의 자동장치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국토부가 이스타항공이 보유한 해당 기기에 대해 항공안전법 등에서 정한 적법한 절차에 따라 감항능력 등을 상세히 시험하고 검증했는지 조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