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친박계 지도부는 7일 비박계 강석호 최고위원의 사퇴 선언에도 '선(先) 수습, 후(後) 퇴진' 입장을 밝히며 이정현 대표 지키기에 나섰다.
조원진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에서 "새 내각이 구성되고, 이 국면이 수습되는 상황이 오면 지도부의 진퇴 결정도 해야 한다"며 "그때까지는 이정현 대표를 중심으로 함께해야 한다"고 '이정현 지도부' 퇴진 요구를 거부했다.
조 최고위원은 "이 대표는 최고위를 통해 특별검사 수용, 거국중립내각 수용, 청와대 인사 개편 등 많은 것을 직접 대통령에게 강력하게 건의했다"며 "외부에서는 이런 모습을 잘 모른다. 이같은 직접적인 건의를 바로 대통령께서 받아들여 실천하는 그런 상황"이라고 이 대표가 대통령에 민심을 전할 유일한 창구임을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지도부의 역할은 대통령께서 바깥의 목소리를 잘 듣지 못하고 타이밍을 놓치는 경우 강력히 쇄신 방안을 요구하는 것"이라며 "이 대표는 외부에서 생각하는 것과 달리 이런 부분에 대해 강력히 요구했고, 또 대통령의 답을 들었다"고 거듭 이 대표를 감쌌다.
이장우 최고위원도 "새누리당이라는 배가 난파 직전이다. 난파 직전에 있는 새누리당호의 선장도 뛰어내리라고 하고, 항해사도 뛰어내리라고 하고, 책임있는 사람들을 다 뛰어내리라고 하면 그 배가 폭풍우를 뚫고 나갈 수 있겠느냐"며 "적어도 폭풍우를 뚫고 나가 고요한 바다가 아니더라도 항해할 수 있는 바다가 됐을 때 그때 새로운 개혁과 쇄신을 하는 게 마땅한 도리"라고 사퇴 요구를 거부했다.
그는 특히 지도부 퇴진 요구에 나선 비박계 대선주자들을 겨냥, "우리당의 많은 지도자들도 이런 위기가 닥쳤을 때 위기극복을 위해 단합을 호소하고, 당내 갈등을 치유하고, 헌신하고 희생해야 한다"며 "지혜를 모아 난국을 수습하고 국민의 삶을 진정으로 생각하는 게 지도자의 몫"이라며 에둘러 비판했다.

최연혜 최고위원 역시 "책임지는 것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며 "각자의 방법이지만 저도 제 나름대로 지도부로서 책임을 다하는데 최선을 다했다"고 말했다.
최 최고위원은 그러면서 "위기 극복을 위해 여야 중진, 국가 원로간 비상시국대책협의체 같은 것을 구성해 현 상황을 타개하는 데 의견을 모아주면 어떨까 생각한다"며 "이 대표가 이런 것을 건의도 하고, 적극 추진해서 국정공백을 최소화하고, 나라가 정상 운영 되는데 앞장서줬으면 한다"고 이 대표에 힘을 실어줬다.
한편 비박계 강석호 최고위원은 이날 '이정현 지도부' 퇴진을 압박하며 최고위원직에서 공식 사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