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은 27일 쟁점법안 처리를 요구하며 더불어민주당을 거듭 압박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더민주를 향해 "(여야는) 29일까지 모든 (쟁점) 법안을 합의해서 처리하고 선거구 획정도 하기로 했지만, 야당은 일방적으로 합의를 깨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원 원내대표는 "야당은 느닷없이 선거법(선거구 획정안)을 먼저 확정하지 않으면 다른 건 처리할 수 없다고 나오고 있다"며 "권력 투쟁 중에 있는 야당의 입장에서 보면 선거법이 급할지 모르겠지만 국민은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민생을 안정시키는 민생법안 처리를 더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선(先)민생 후(後)선거라는 기존 입장을 가지고 어떻게 해서든 29일 전까지 민생법안·경제법안·안전법안을 통과시킨 후에 선거법 협상에 임하겠다"고 했다.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더민주는 여야 간에 합의한대로 29일 (본회의에서) 기업활력제고를위한특별법과 북한인권법을 반드시 처리해야한다"고 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야당은 선거법 처리를 가지고 나와 일방적으로 '3+3 회동'을 취소했다"며 지난 일요일 여야 간의 합의는 단순한 약속이 아니다. 국민과의 약속이다. 희망의 등불같은 그런 약속"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노동개혁 법안과 관련, "더민주는 더이상 민노총 눈치를 보지 말고 우리 기업, 청년을 위해 노동법 협의에 즉각 착수해줄 것을 부탁한다"고 했다.
정갑윤 의원도 야당을 향해 노동개혁 4법 중 파견법 처리를 거듭 촉구했다.
정 의원은 "파견법 개정을 통해 일하고자 하는 중장년층에게는 일자리를, 인력난에 허덕이는 중소기업과 제조업 등 뿌리산업에는 인력을 제공해야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전체 노동자를 대변해야하는 노동 단체가 정작 보호를 받아야할 청년·비정규직 근로자 등 사회적 약자의 고통은 외면한 채 노동개혁을 반대하는 이유가 노동시장 유연화로 인해 기존 정규직 근로자의 기득권을 뺏길걸 우려해서가 아닌지 묻고싶다"며 "야당은 더이상 청년과 비정규직의 눈물을 외면하지 말고 법안 처리에 동참하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