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가 오는 2017학년도부터 중·고교 역사교과서의 국정 전환을 예고하면서 후폭풍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12일 오후 2시께 황우여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역사교과서 국정화 전환을 발표하고, '중등학교 교과용도서의 국·검·인정 구분고시'를 행정예고한다고 밝혔다.
행정예고 기간은 대부분 20일 이상으로 늦어도 다음달 초에는 구분고시가 확정·고시될 것으로 보인다.
구분고시가 확정되면 2017학년도부터 중학생은 역사, 고등학생은 한국사 교과서를 하나의 교과서로 배우게 된다.
국정 역사교과서 집필은 이달부터 국사편찬위원회가 맡게 된다.
교육부는 역사학계 외 학부모, 교육·국어·헌법학자 등으로 구성된 편찬심의회를 구성해 편찬준거를 심의하고 교과서 집필 단계별로 원고심의 및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칠 계획이다. 또 교과서 개발 과정을 공개하고, 현장교사와 전문가들의 의견도 수렴할 예정이다.
교육부가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지만 야당과 진보시민·교육단체 등의 반대가 거셀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11일 교육부의 발표 이후 새정치민주연합은 시민사회단체와 함께 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를 위한 연대투쟁에 나서기로 했다.
예정대로 고시가 이뤄질 경우 황 부총리에 대한 해임건의안을 제출하고, 김동원 학교정책실장에 대해서도 당 차원의 고발이 있을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466개 단체들이 연대한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 역시 규탄 성명서 발표, 대국민 서명운동, 국제사회와의 연대 등 국정화 저지 운동을 계속해 나갈 방침이다.
송재현 전교조 대변인은 "국정화 중단을 요구하는 대국민 서명운동과 국정교과서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교사 불복종 선언운동 등을 진행할 수 있다"며 "학계에서는 국정교과서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해 발표하고, 시도교육감들 중심으로 대안적 교재를 개발하거나 민주시민교육을 확대하는 방안 등이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