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측은 30일 '김 대표가 대통령 순방 중에 공천 문제를 야당과 합의했다'는 친박의 반발에 대해 "그러면 거꾸로 대통령께서 앞으로 이 문제까지도 관여를 해가지고 내년도 우리 새누리당의 공천방식을 대통령의 뜻에 의해서 결정되어져야 되느냐"고 반문했다.
김 대표 최측근으로 통하는 김성태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한 뒤, "박근혜 대통령께서 지난 대선 때 이 정치 분야 공약 중에 가장 제일 첫번째 공약이 바로 국민공천제를 앞으로 법제화하겠다는 그 공약이었다. 그게 사실상 오픈프라이머리"라고 강조했다.
그는 "어느 누구도 공천에 사심이 개입될 수 없는 그런 법률적인, 제도적인 장치를 도입하겠다고 약속한 분이 바로 박근혜 대통령"이라고 거듭 박 대통령이 오픈프라이머의 선구자임을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 측근, 지근이라고 자처하는 사람들이 대통령 본인의 의지를 가지고 지난 대선 때 우리 새누리당 후보로서 공약에 정치공약 제1번으로 그렇게 올려놓은 사실을 너무도 잘 알고 있는데. 지금 와서 대통령 공약을 충실히 실행하고 이행하자는 입장을 갖다가 그렇게 주눅들게하고 그거 잘못됐다고 하면 도대체 어떤 방식으로 가자는 건지 저는 납득이 안 된다"고 일부 강경 친박계를 비난했다.
그는 또 '안심번호 도입 합의는 친노 프레임에 손을 들어준 것'이라는 친박계의 주장에 대해 "저는 (친박의 반응에) 상당히 경악했다"며 "논리의 비약"이라고 일축했다.
그는 "안심번호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정치권에 제안한 제도"라며 "또 더군다나 지난 8월달에 정개특위, 정치개혁특위가 지금 국회에 지금 상설기구로 설치되어 있지 않나. 정개특위에서 여야간에 소위원회에서 이미 합의가 되어 버린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친박핵심 조원진 원내새수석부대표가 이번 합의를 '졸속'이라고 비난한 데 대해 "원내수석 부대표들은 그 내용을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또 "그런데 그걸 야당 프레임에, 야당 전유물인 안심번호제를 우리가 왜 덜컥 받았냐 이렇게 얘기하는 것은 그렇다면 지난 8월달에 정개특위에서 우리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 구성이 딱 5대 5다. 거기서 우리 협상을 하고 합의를 해 준 우리 새누리당 의원들에 대한 문제제기가 이미 그때 있어야죠"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