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22 16:37 (화)
경기북부 맞춤 신품종 경기9호 개발
상태바
경기북부 맞춤 신품종 경기9호 개발
  • 임태순 기자
  • 승인 2015.09.03 15: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농기원,생육에 적합한 조생종 중간찰벼

경기도농업기술원(원장 임재욱)이 경기북부지역 기후 조건에서도 재배할 수 있는 중간찰벼를 개발했다.

도 농기원은 중간찰벼 백진주 와 고품질 밥쌀용 상미벼를 교배해 경기9호를 개발하고, 연천 농가포장에서 실증재배 한 결과 북부지역에서도 안전하게 재배가 가능한 것을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중간찰벼는 차진 정도가 메벼와 찰벼의 중간인 품종으로 첫 서리가 내리기 전인 10월 20일 경에 수확해야 하는데, 기후 여건으로 벼꽃이 늦게 피는 경기북부지역에서는 재배가 어려웠다.

경기9호는 백진주보다 꽃 피는 시기가 15∼20일 정도 빨라 벼 익는 시기가 빠른 조생종으로 10a당 수량성은 거의 차이가 없다.

북부지역 농민들은 기존 북부지역에서 재배했던 품종이 쓰러짐에 약하고, 수량성이 높은 품종은 북부지역 기후조건에 맞지 않아 재배가 어려워 대체 품종 개발을 희망해왔다.

도 농기원은 경기9호를 올해 5월 12일 연천군 군남면 김봉규 농업인 논에서 재배한 결과 벼꽃 피는 시기가 백진주(8월 20일)에 비하여 16일(8월 4일) 빨랐으며 생육이 양호하여 수량성이 높을 것으로 평가했다.

찰벼 등 특수미를 전문으로 농사를 지어온 김봉규 농업인은 “가격이 높은 중간찰벼 재배가 어려웠는데 경기9호는 북부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해 소득 증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도 농기원은 연천 등 북부지역에서 재배 가능성이 확인된 ‘경기9호’의 수량성 등을 면밀히 검토 한 후 농가에 조기 공급할 계획이다.

임재욱 농업기술원장은 “북부지역에서 적응성을 가진 조생종 중간찰벼 우량품종을 개발하여 보급함으로서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재배농가의 소득 향상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