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과목 중간고사…일부 학생들 오픈채팅방서 답안 공유
연대 'AI 부정행위' 이어 고대 '카톡 커닝'까지…대학가 논란
연대 'AI 부정행위' 이어 고대 '카톡 커닝'까지…대학가 논란
고려대학교의 한 대형 온라인 교양 강의에서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통한 집단 부정행위가 적발됐다. 학교 측은 해당 시험을 전면 무효 처리했다.
10일 고려대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진행된 교양과목 '고령사회에 대한 다학제적 이해' 중간고사에서 일부 학생들이 문제를 공유하며 답안을 주고받은 사실이 학생 제보를 통해 밝혀졌다.
해당 시험은 별도의 보안 프로그램 등 부정행위 방지 장치 없이 비대면으로 진행됐다.
이 강의는 약 1400명이 수강하는 대형 온라인 강좌로, 부정행위가 발생한 오픈채팅방에는 500명가량이 참여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채팅방은 시험 이전부터 수강생들이 정보를 주고받는 커뮤니티로 운영돼 온 것으로 전해졌다.
강의 교수자는 지난달 27일 공지를 통해 "명문사학에서 이 같은 일이 발생한 것에 대해 강의를 해주신 교수님들이 큰 충격을 받았다"라며 "부정행위를 묵과할 수 없으므로 중간고사 전면 무효화라는 특단의 조치를 내린다"고 밝혔다.
고려대는 학부대학과 행정팀을 중심으로 기말고사 대책과 재발 방지 방안을 논의 중이다.
앞서 연세대학교에서도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중간고사 부정행위가 적발됐다. 담당 교수는 자수하지 않은 학생들에 대해 유기정학 처분을 추진하겠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KUB우리방송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