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생산 차질 최소화 할 대책 마련 추진해야”
한국의 중간재 수출입 비중이 주요 선진국을 모두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수출국은 다양해졌지만,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품목 집중이 심화되면서 일부 편중 현상이 뚜렷해졌다는 분석이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9일 발표한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한국이 주요 7개국(G7) 가운데 가장 높은 중간재 교역 비중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수출과 수입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67.6%, 50.5%로, 전체 교역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우리나라가 소재·부품 등을 수입해 반도체·이차전지·석유제품 같은 중간재로 가공해 다시 수출하는 산업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 G7 국가들은 자동차, 항공기, 의약품 등 최종재나 석유 등 1차 산품 수출이 주력이라는 점도 우리나라의 중간재 비중이 높은 배경으로 꼽힌다.
최근 5년간 교역 구조 변화도 나타났다. 중간재 수출에서 중국 의존도는 줄고, 미국과 대만 등으로 수출 비중이 확대되면서 수출국 다변화가 이뤄졌다.
특히 미국으로의 중간재 수출 증가는 현지 투자 확대와 연계된 것으로, 미국 내 한국 기업이 현지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국내에서 조달한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품목별 집중도는 더 높아졌다. 메모리와 프로세서, 컨트롤러 등 반도체 품목이 수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고, 수입 역시 반도체와 천연가스 등 일부 품목에 집중됐다. 결과적으로 교역 구조 전반에서 ‘반도체 쏠림’ 현상이 심화됐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미·중 갈등, 보호무역 확산 등 외부 변수에 따른 수출 감소와 생산 차질 가능성을 최소화할 대책 마련이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