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 주요 도로 지표 투과 레이더(GPR) 탐사 결과와 조치 현황이 서울 시민에 공개된다.
서울시는 서울안전누리 안 GPR 탐사 지도(서울안전누리→안전정보지도→GPR 탐사 지도)를 통해 2014년 11월 이후 발견·조치 완료한 공동(空洞) 7760개 위치, 발견일, 규모, 조치 결과 등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GPR 탐사 지도 속 노란색 점은 공동이 발생한 위치를 나타낸다. 점을 선택하면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올해 실시한 GPR 탐사 노선은 선으로 표시한다.
지난달 말부터는 공동 밀집도 기능을 도입했다. 공동이 많이 발생한 지역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공동 밀집도는 100m 구간 내 발견된 공동 개수(0개, 1개, 2개, 3개, 4~6개, 7~9개, 10개 이상)에 따라 색상으로 7단계를 표시한다. 발견 개수가 많을수록 색이 짙어진다.
GPR 탐사는 지표에 전파를 쏘아 반사되는 신호를 분석해 땅속 빈 공간을 발견·조치하는 대표적 지반 침하 예방 활동이다. 서울시는 2014년 11월 전국 최초로 GPR 탐사를 도입하고 2015년부터 탐사해 왔다.
GPR 탐사가 시작된 2014년부터 지난달까지 누적 조사 연장은 총 3만3129㎞다. 이 기간 발견된 공동은 총 7760개다. 전체 기간 중 1㎞당 공동 발견율은 약 0.23개다.
탐사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연간 발견되는 공동 수가 늘었지만 1㎞당 공동 발견 건수는 2015년 0.41개에서 올해 0.08개로 10년간 약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연간 조사 거리는 2015년 614㎞에서 올해 9월 기준 약 7169㎞(약 11.7배 증가)로 늘었다. 시는 연말까지 9000㎞ 탐사를 완료하고 내년부터는 인력과 장비를 늘려 연간 1만8000㎞를 탐사할 계획이다. 또 굴착 공사장 주변, 일반 도로 구간 등을 매년 전수 조사한다.
이를 위해 전문 인력을 현재 7명에서 올해 말까지 10명으로 늘린다. 차량형 GPR 장비 3대를 연말까지 추가로 확보해 총 10대(차량형 7대, 핸드형 3대)를 운영할 예정이다.
이 밖에 시는 굴착 공사장 주변 GPR 탐사를 강화했다. 지난 4월부터 굴착 공사장 인근을 매월 1회 특별 점검하고 있다. 지하철·도로 터널 등 대형 공사장 주변은 주 1회 집중 점검 중이다.
시는 지난 1월부터 9월까지 서울 시내 굴착 공사장 289개소와 대형 공사장 23개소(신안산선, 동북선, 지하철 9호선 연장, 영동대로 구간 등) 등 총 312개소를 조사해 97개 공동을 발견하고 조치했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서울시는 지속해서 GPR 탐사를 강화해 왔으며 발견된 공동은 100% 신속 조치해 지반 침하를 사전에 예방하고 있다"며 "GPR 탐사뿐만 아니라 굴착 공사장 안전 관리를 더욱 강화하고 지반 침하 예방을 위한 신기술을 도입해 안전한 서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