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10-01 16:43 (수)
'정부망 마비' 국정자원 화재…현장작업자 등 4명 불구속
상태바
'정부망 마비' 국정자원 화재…현장작업자 등 4명 불구속
  • 박두식 기자
  • 승인 2025.10.01 15: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정자원 관계자와 현장 작업자 등 4명
전원 차단 후 방전 여부도 확인할 예정
▲ 1일 오전 대전 서구 둔산동 대전경찰청 로비에서 김용일 형사과장이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 1일 오전 대전 서구 둔산동 대전경찰청 로비에서 김용일 형사과장이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정부망을 마비시킨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와 관련해 경찰이 4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대전경찰청은 국정자원 관계자 A씨 등 4명을 업무상실화 혐의로 입건해 조사 중이라고 1일 밝혔다.

A씨를 제외한 나머지 3명은 부상을 입은 작업자 B씨와 다른 업체 작업자 1명, 감리 업체 직원 1명이다.

특히 조사가 이뤄진 관계자들 진술 등을 토대로 사고 원인과 가장 관련이 깊고 매뉴얼대로 진행하지 않거나 실수한 부분 등이 있다고 판단한 경찰은 이들을 입건했다.

A씨는 당시 현장을 관리하는 업무를 맡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현재까지 작업자와 감리 업체 직원 등 3명을 포함한 12명에 대해 조사를 마쳤다.

관계자들 진술 중 상이한 부분이 있지만 작업 전 전원을 차단했다는 진술이 일치하고 있으며 로그로 확인한 결과 실제로 26일 오후 7시9분께 전원이 차단됐다.

경찰은 주전원을 차단했지만 배터리 관련 전원이 여러개 있어 차단 순서 등은 확인해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주 전원을 차단한 후 방전을 진행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고 설명했다.

경찰은 화재 원인 분석 등을 위해 5층에 설치된 폐쇄회로(CC)TV 25대를 확보했지만 분석 등에는 장시간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필요할 경우 다른 층에 있는 CCTV도 확보할 예정이다.

지난달 30일 경찰은 발화 지점으로 추정되는 배터리팩 6개를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으로 옮겼지만 이 중 1개의 안정화 작업이 이뤄지지 않아 현재 안정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안정화 작업이 끝나면 배터리팩 6개를 국과수 본원으로 옮겨 정밀 감정을 진행할 방침이다. 향후에도 경찰은 화재 현장을 보존하며 필요 시 합동 감식을 이어갈 계획이다.

김용일 대정경찰청 형사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정확한 화재 원인은 전동 드라이버 사용 등 여러 가지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지만 국과수 감정 결과가 나와야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작업자들의 구체적인 고용 관계 등을 확인하기 위해 국정자원으로부터 자료를 임의제출 받았다"고 말했다.

김 과장은 "국정자원 관계자들의 경우 복구 작업 등을 이유로 전화가 이뤄지지 않는 부분이 있어 시간을 조율한 뒤 명절 연휴에도 조사를 이어갈 방침"이라며 "필요한 자료를 요청했는데도 제출하지 않을 경우 압수수색을 벌일 수도 있지만 아직 그런 단계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26일 오후 8시16분께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불이 났다.

소방당국은 장비 67대와 인력 242명을 투입, 약 10시간만에 큰 불길을 잡고 다음날인 27일 오후 6시께 진화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