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 기능과 기후정책 총괄 기능을 통합한 ‘기후에너지환경부’가 내달 1일 출범한다.
환경부는 9월 30일 국무회의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정령이 의결돼 내달 1일 시행된다고 밝혔다. 신설되는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차관, 4실, 4국·14관, 63과 체제로 꾸려진다. 본부 인원은 총 829명이다.
환경부는 “온실가스 감축, 재생에너지 확대, 환경질 개선, 기후재난 대응 등 기후·에너지·환경정책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조직 체계로 구성됐다”고 설명했다.
1차관 산하에는 기획조정실(정책기획관), 물관리정책실(수자원정책관·물환경정책관·물이용정책관), 자연보전국, 대기환경국, 자원순환국, 환경보건국이 배치된다.
2차관 산하에는 기후에너지정책실과 에너지전환정책실이 설치돼 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탄소중립 산업 육성 등을 담당하게 된다.
기후에너지정책실에는 기존 ▲기후에너지정책관 ▲녹색전환정책관 ▲국제협력관 외에 ‘수소열산업정책관’이 새로 추가된다.
전기·수소차 보급 등을 담당하던 대기미래전략과는 ‘탈탄소녹색수송혁신과’로, 녹색산업혁신과는 ‘탈탄소녹색산업혁신과’로 이름이 바뀐다.
에너지전환정책실 산하에는 ▲전력산업정책관 ▲전력망정책관 ▲재생에너지정책관 ▲원전산업정책관으로 구성된다.
소속기관은 기존 20개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소속이던 전기위원회가 이관되며 21개로 늘었다. 소속기관을 포함한 기후에너지환경부 전체 직원 규모는 2096명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인류 생존을 위협하는 기후위기에 맞서 녹색 대전환을 이끄는 부처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