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9-29 16:51 (월)
민주당-한국노총 고위급정책협의회…“4.5일제 등 대선 약속 지켜야”
상태바
민주당-한국노총 고위급정책협의회…“4.5일제 등 대선 약속 지켜야”
  • 이광수 기자
  • 승인 2025.09.29 15: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청래 대표 “산재사고 이 땅서 추방돼야”
김동명 위원장 “만약 신뢰 흔들리면 다시 투쟁”
▲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9일 오전 ‘한국노총-더불어민주당 2025년도 제1차 고위급정책협의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시스
▲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9일 오전 ‘한국노총-더불어민주당 2025년도 제1차 고위급정책협의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시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9일 한국노총을 찾아 “살기 위해서 가는 노동 현장에서 죽음을 맞닥뜨리는 산재 사고는 더 이상 이 땅에서 추방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현 정부가 산업재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 정책협약(한국노총-민주당) 이행의 첫 걸음이 의미 있게 시작되고 있다”면서도, 민주당이 약속한 4.5일제, 정년연장 등과 관련해선 “신뢰가 흔들리고 현장의 요구가 외면되면 언제든 다시 새로운 투쟁의 길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 대회의실에서 열린 ‘한국노총-더불어민주당 2025년도 제1차 고위급정책협의회’ 모두발언에서 “이 대통령께서는 취임 직후부터 거듭해서 산재 없는 노동 현장을 강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국노총과 민주당은 지난 대선과정에서 정책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주4.5일제 도입, 정년연장,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 권리보장 등이 협약에 담겼다. 이날 자리는 협약 이행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 대표는 “민주당이 이 대통령과 함께 한국노총의 손을 굳게 잡고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며 “민주당은 중대재해처벌법, 노란봉투법 등을 통해 노동자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고 노동3권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주 4.5일제를 단계적으로 도입해 OECD 평균을 한참 웃도는 과도한 노동 시간을 줄여 나가기 위한 노력도 한국노총과 함께 하겠다”며 “사각지대 없는 보편적 노동권을 보장하고 사회 보장 제도를 강화하며 노후 소득과 돌봄, 의료의 국가 책임을 강화하는 등 지난 대선 과정에서 약속했던 사안들도 착실하게 현실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했다.

그는 “특별히 근로자의 날을 노동절로 명칭을 변경하는 문제, 퇴직급여 보장법 개정, 체불임금 문제 해결을 위한 임금채권보장법 개정, 고용노동법 개정, 노동이사제 도입 등은 이미 민주당의 정기국회 중점 처리 법안에 포함되어 있는 사안이기 때문에 오늘 귀한 말씀을 잘 듣고 제가 직접 챙기도록 하겠다”고 했다.

정 대표는 “오늘 한국노총에 들어오다 보니까 교사들의 정치 참여를 보장하는 피켓팅 하는 분들과 제가 일일이 손을 잡았다”며 “이미 백승아 의원한테 얘기를 듣고 이 법은 가장 빠른 시간 안에 처리를 해야 된다고 제가 정책위의장한테도 지시를 한 바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오늘 정책협의회는 한국노총과 민주당이 이재명 정부의 노동 정책과 이번 정기국회에서 노동 분야 중점 과제에 관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고 구체적인 현실로 만들어 나가는 자리”라며 “김동명 위원장은 지난 대선 과정에서 공동선대위원장으로서 맹활약을 했고, 우리 이재명 정부 출범의 1등 공신이 아닐 수 없다”고도 말했다.

한편 이날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 집권 이후 바로 노조법 2·3조 개정(노란봉투법)이라는 오랜 숙원이 결실을 맺었고 현 정부는 노동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정책협약 이행의 첫 걸음이 의미있게 시작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와 비정형노동자의 권리 보장, 주4,5일제 도입, 교원·공무원의 정치기본권 보장이나 정년연장 등 앞으로 풀어 나가야 할 과제들이 여전히 많다”고 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앞으로 협약 이행 과정에서 갑작스런 변수들이 생길 수 있다”며 “만약 신뢰가 흔들리고 현장의 요구가 외면된다면 한국노총은 언제든 다시 새로운 투쟁의 길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