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5일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만나 정부조직법 개편안 등 본회의에 상정할 법안에 대해 논의했지만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송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의장실에서 회동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힘은) 합의된 법률을 먼저 상정해서 처리하자고 건의했는데 민주당에서는 합의가 안 되고 필리버스터를 예고하거나, 예고되고 있는 법안부터 상정하자고 해서 의견이 엇갈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각자 의원총회에서 의원들의 총의를 더 모으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국회의장은 민주당 손을 들어줘서 합의가 안 된 정부조직법 개정안이라든지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설치법, 증언·감정에 관한 법 등을 상정할 뜻을 밝혔다”며 “합의가 안 된 법안을 먼저 상정해서 통과시키겠다고 하는 의도를 매우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조직 개편과) 관련해 오전 당정대에서 이번에는 하지 않겠다고 얘기를 했다고 한다”며 “하지만 또 우회해서 본회의에 패스트트랙으로 바로 올릴 수 있는 가능성이, 그간 민주당의 태도로 볼 때 야당과의 합의나 약속을 하루아침에 엎어버리고 단독 추진할 개연성이 얼마든지 있다고 보여진다”고 했다.
또 “오늘 본회의에서 민주당 의견대로 합의가 안 된 법안을 먼저 상정해서 처리하겠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쉽게 수긍하기 어렵다”며 “의총에서 의원들의 총의를 모아 대응하겠다”고 했다.
김 원내대표는 ‘오늘 본회의에서 정부조직법 개편안 상정이 결정된 것인가’라는 질문에 “저희는 계속 요청했으니 국회의장이 결정하실 것”이라고 답했다.
‘비쟁점 법안 대신 쟁점 법안 4개를 먼저 처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묻자 “시급하니 그런 것이고, 비쟁점법안은 합의한 사항인데 거기에 대해서도 국민의힘이 73건에 대해 필리버스터를 걸겠다고 하니 부득불 정말 불가피하게 법안을 상정하지 못 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아무리 그래도 모든 걸 파행할 수는 없지 않나. 국회의장이 (비쟁점 법안은) 상정하지 않는다고 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