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국제 평화·안보’ 의제 채택·심의
“AI 책임 이용 원칙 바로 세워야”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한국 정상으로는 처음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공개 토의를 주재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3시께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보리 공개 토의에서 개회 선언과 함께 ‘인공지능(AI)과 국제 평화·안보’ 의제를 채택했다.
회색 정장에 짙은 파란색 넥타이, 태극기 배지를 착용한 이 대통령은 의사봉을 두드린 뒤 참석자들을 향해 “여러분께서 오늘 이 자리에 함께해주신 것은 논의하는 주제의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고 말했다.
안보리는 5개 상임이사국과 10개 비상임이사국이 돌아가면서 의장국을 맡는데, 한국이 9월에 안보리 의장국을 맡으면서 이 대통령이 이날 의장석에 앉아 회의를 주도했다.
이 대통령은 토의를 시작하기에 앞서 약식 브리핑을 통해 “전 유엔 회원국을 대상으로 열리는 AI 관련 첫 공개 토의 주재를 맡게 돼 매우 의미 있게 생각한다”며 “대한민국이 ‘더 나은 세계’를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공개 토의에는 안보리 이사국 15개국을 포함한 약 80개국 국가가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의제 채택 이후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과 요수아 벤지오 몬트리올대 교수, 최예진 스탠퍼드대 교수의 의제 브리핑을 요청하며 회의를 주도했다.
이 대통령은 세 명의 브리핑을 들은 뒤 모두발언에서 “명과 암이 공존하는 AI 시대의 변화를 기회로 만들 방법은 국제사회가 단합해 ‘책임 있는 이용’의 원칙을 바로 세우는 것 뿐”이라며 “유일하고도 현명한 대처는 국익을 위해 경쟁하되 모두의 이익을 위해 협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제프리 힌튼 교수가 AI를 ‘새끼 호랑이’에 비유한 것을 인용하며 AI 기술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인류의 미래가 달라진다고 짚었다.
이 대통령은 “AI를 잘 활용한다면 저성장·고물가 같은 난제를 해결해 새로운 번영의 길을 열어내고 의료, 식량, 교육 등 여러 문제에 해답을 줄 수도 있다”면서도 “변화에 대비하지 못한 채 끌려간다면 극심한 기술 격차가 ‘철의 장막’을 능가하는 ‘실리콘 장막’으로 작동해 전 세계적인 불평등과 불균형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봤다.
이어 “각국 정부와 학계, 산업계, 시민사회가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야 ‘모두를 위한 AI’ ,’인간 중심의 포용적 AI’로의 혁신을 이뤄낼 수 있다”라며 “특히 안보리 역할과 책임이 막중하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이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AI가 인류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도구가 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주도하는 길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하며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의장국으로서 AI의 혁신이 인류의 번영에 기여할 수 있도록 ‘APEC AI 이니셔티브’ 채택을 추진하고 있기도 하다”라고 말했다.
나아가 “이런 과정을 통해 무엇보다 기술 발전의 혜택을 함께 누리는 ‘AI 기본사회’, ‘모두의 AI’가 새로운 시대의 뉴노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소말리아, 슬로베니아, 그리스, 영국 등 각국 정상들의 발언 순서를 소개하며 토의를 이끌었다. 토의를 들을 때는 메모하거나 손을 맞잡고 경청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한민국의 안보리 공개 토의 주재를 축하하는 발언에는 고개를 끄덕이기도 했다.
의장석에 앉은 이 대통령 뒤에는 조현 외교부 장관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차지훈 주유엔대사 앉아 참석자들의 발언을 들었다. 이 대통령이 이석한 이후 조현 외교부 장관이 대신해 회의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