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이제는 이공계 전성시대’를 선언하며, 의대 쏠림으로 흔들리는 과학·공학 인재 공급 구조를 반도체·AI·모빌리티 등 첨단산업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핵심 전략을 발표했다.
‘3NO 1YES’로 학비·연구비·주거비 부담을 없애고(3NO), 과학기술인의 자긍심을 높이는(1YES) 환경을 구축해 이공계 인재가 안정적으로 연구·학업·창업에 전념하며 세계적 경쟁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목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5일 고려대학교 미래융합기술관에서 열린 ‘이제는 이공계 전성시대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이와 같은 핵심 비전과 정책 방향을 밝혔다.
시는 이번 비전을 통해 이공계 인재를 위한 지원 확대와 우대 문화 조성에 나서고, 연구·주거·교육 등 전반의 여건을 꾸준히 개선해 의대 쏠림으로 인한 인력난을 완화하고, 서울을 첨단산업 인재가 모이는 중심 도시로 도약시키겠다는 구상을 제시했다.
먼저 경제적인 이유만으로 연구를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이공계 미래동행 장학금’을 신설한다. 기존 석·박사 과정 중심 지원을 박사 후 과정까지 넓히고, 연 지원 금액을 석사 2000만원·박사 4000만원·박사 후 과정 6000만원으로 확대하는 것이 핵심이다.
또 ‘서울 라이즈 텐(RISE 10) 챌린지’ 추진을 통해 최장 10년간 안정적 연구비를 지원, 단기 성과 압박에서 벗어나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적 연구를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다.
‘이공계 인재 성장주택’도 조성해 주거 부담을 완화하고 연구·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서울 과학인의 상’을 신설해 뛰어난 연구 성과를 낸 과학기술인을 시상하고, 국제학술대회·CES 등 세계 무대 진출을 지원해 사회적 인정과 자부심을 높인다.
비전 발표에 이어 김영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학장이 ‘글로벌 과학기술 혁신 인재의 시대적 요구’를 주제로 발제하며, 과학기술이 곧 국가 경쟁력임을 강조하고 서울시와 대학의 공동 역할을 제안했다.
이어진 패널토론 ‘이공계 위기 시대, 인재 양성을 위한 해법’에서는 국가 차원의 이공계 인재 정책 우선순위와 지자체의 역할, 이공계 학생들이 체감하는 연구·취업·창업 환경의 한계와 개선 방안 등을 논의했다.
시는 이번 토론에서 제시된 현장의 의견을 정책 설계와 실행에 적극 반영해 서울형 이공계 인재 양성 정책의 실행력과 현장 적합성을 높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