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9-10 10:51 (수)
아파트 분양가 더 오른다…원자재 가격 불안·인건비 상승
상태바
아파트 분양가 더 오른다…원자재 가격 불안·인건비 상승
  • 이광수 기자
  • 승인 2025.09.09 14: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란봉투법·산재 엄벌 기조 영향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사업자 대상 설문조사
▲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공사현장. /뉴시스
▲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공사현장. /뉴시스

이달 아파트 분양가격 전망지수가 원자재 가격 불안과 인건비 상승 우려 속에 소폭 오름세를 보였다. 분양물량 전망은 늘었지만 여전히 부진했고, 미분양 전망은 정부의 지방 건설투자 대책 기대감 속에 개선되는 등 시장 전망이 엇갈린 모습이다.

9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9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4.5p 상승한 104.5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최근 원자재 가격 불안 추세와 더불어 사업자들이 노란봉투법 통과와 산재 엄벌 기조로 인해 공기 지연과 실질적인 인건비 증가를 우려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11.8p 상승했지만, 여전히 기준선(100.0)보다 낮은 89.1로 집계됐다.

미분양 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3.1p 하락한 93.9로 나타났다. 올해 1~7월 비수도권 분양 물량이 전년 동기 대비 44.7% 줄어드는 등 공급 감소가 두드러진 가운데, 정부가 발표한 ‘지방중심 건설투자 보강방안’에 따라 비수도권 미분양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영향으로 보인다.

한편, 이달 아파트 분양전망 지수는 전국 평균 0.5p 상승한 75.6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2.0p(81.4→79.4) 하락 전망됐고, 비수도권은 1.1p(73.7→74.8) 상승 전망됐다.

수도권에서 서울(88.6→97.2, 8.6p↑), 경기(78.8→79.4, 0.6p↑)는 상승 전망됐고, 인천(76.9→61.5, 15.4p↓)은 큰 폭으로 하락 전망됐다.

연구원은 “수도권 주담대 규제로 주택 매매 수요가 위축된 가운데 옥석 가리기가 심화되면서, 입지 경쟁력이 떨어지는 수도권 외곽 지역은 여전히 높은 분양가와 금리 부담으로 인해 미분양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반면, 분양물량이 부족한 서울 핵심 지역은 풍부한 유동성을 보유한 수요가 집중돼 청약 경쟁률이 높아진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