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9-04 16:46 (목)
정부,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 결정
상태바
정부,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불참 결정
  • 박두식 기자
  • 승인 2025.09.04 15: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일 오전 일본 측에 불참 통보…추후 별도 주최
▲ 박철희 주일 대사가 일본 니가타현 사도 광산 인근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일본 정부와 별도로 열린 사도 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 추도식에 참석해 추도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 박철희 주일 대사가 일본 니가타현 사도 광산 인근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일본 정부와 별도로 열린 사도 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 추도식에 참석해 추도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일본이 오는 13일 주최하는 사도광산(佐渡金山) 추도식에 우리 정부는 불참하기로 결정하고 일본 측에도 공식 통보했다.

정부가 이 같은 결정을 한 배경에는 노역의 강제성을 둘러싼 해석 이견 탓에 일본 측이 한국 강제징용 노동자들에 대한 진정한 반성이 여전히 부족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4일 기자들과 만나 “우리 정부는 올해 추도식에 참석하지 않기로 하였다”며 “정부는 올해 추도식이 한국인 노동자의 넋을 기리고 유가족의 아픔을 위로하는 방향으로 온전하게 개최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일측과 협의하였으나, 결과적으로 핵심 쟁점에 대한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고 결국 올해 추도식에 참석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이르게 되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추도식 날짜를 13일로 내부적으로 잠정 확정하고 이를 한국 정부에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협의의 핵심 쟁점은 추도사 내용 중 ‘강제성’에 관한 표현에 대한 것이었다.

정부 관계자는 “우리 정부는 고인이 된 사도광산 한국인 노동자에 대한 합당한 애도가 있으려면 그 고난의 근원과 성격이 무엇이었는지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고 보았다”며 “즉 한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에 반하여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다는 것이 적절히 표현되어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한 것”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양측의 추도사 내용, 노동의 강제성에 관한 표현에 대해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현 시점에서 불참을 결정한 또 한 가지 요인은 시간적 제약도 고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은 기간을 감안할 때 추도식 이전까지 만족할 만한 접점을 찾고 참석 준비 시간을 확보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앞서 지난해 11월 일본에서 열린 추도식도 양국 정부 간 행사의 명칭, 추도사 등을 둘러싼 갈등 끝에 한국측 불참으로 파행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