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는 3일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후보자의 과거 행적 등을 두고 신경전을 벌였다. 여당은 원 후보자의 전문성을 강조하면서 후보자 낙마 사태 재발 방지에 나섰다. 윤석열 정권에서 폐지가 거론됐던 여가부의 위상 제고와 사기 진작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내놨다.
이재명 대통령은 여가부를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하겠다는 대선 공약을 내놓은 바 있다.
서영교 민주당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대한민국에서 성폭력 당하고 말도 못하고 숨고 자기 자해로 가는 경우가 많다”며 “변호사 활동을 하면서도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여성의전화에서 활동했다는 것은 아주 의미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 경험으로 약하고 힘들고 소외받고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일해달라”며 “그 사람들이 독립적으로 주체로 설 수 있는 제도를 만들고 그들을 위해 예산을 쓸 수 있는 장관이 돼 달라”고 했다.
같은당 이연희 의원도 “정치권이나 시민사회단체들의 평가를 들어보니까 전문성을 가진 적임자가 제대로 지명됐다는 평가가 많다”라며 “여가부가 윤석열 정부에서 많이 축소되고 위축돼 국민의 걱정이 많았는데 훌륭하게 역할과 성과를 내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그는 “여가부가 성평등가족정책 총괄 컨트롤타워로서 제 역할을 할 수 있게 조직을 개편하고 확대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고도 주문했다.
원 후보자는 ‘모두가 존중받는 성평등사회로 나가자’는 이 대통령의 양성평등주간 메시지를 언급하며 “대통령의 소망, 우리의 소망이 실현되는 첫걸음이 여가부가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며 “성평등가족부는 성평등정책 총괄 조정 핵심부서로 역할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원 후보자가 민주당 윤리심판원 위원으로 활동했으면서도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권력형 성범죄에 침묵했다고 비판했다.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은 여권과 친여 시민사회 인사들이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사건에서 ‘피해호소인’ 용어를 쓴 것에 대해 “피해자를 피해자로 부르지 않는 것 자체가 사실 명백한 2차 가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