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월부터 서울시가 운영 중인 ‘공사장 안전지수제’ 상반기 성적표가 나왔다.
3일 서울시에 따르면 공사장 안전지수제는 공공 공사장 안전 수준을 파악해 사고를 예측하는 제도다. 주요 재해 사고 원인 2만5000건을 분석해 만든 평가 기준이다.
총 7개 영역 24개 세부 지표로 구성된 공사장 안전지수제는 현장 안전 관리 실태 점검을 넘어 근로자 안전 의식, 관리자 직무 수행 능력, 고위험 관리 역량까지 수치화해 평가한다.
90점 이상은 우수 등급으로 안전 관리 참여가 일상화되고 작업 현장 안전 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상태를 뜻한다.
60점 미만은 매우 미흡 등급으로 안전 관리 내용이나 절차에 관한 인식이 부족하고 구성원 참여기 부진하며 작업 현장 안전 활동이 크게 부족한 상태다. 40점 미만인 경우 공사 중지 또는 특별 점검·교육 조치가 내려진다.
시가 상반기 57개 공공 공사 현장을 대상으로 총 277회 평가를 실시한 결과 평균 안전 점수는 81.4점이었다.
우수 등급 현장은 1분기 2곳에서 2분기엔 9곳으로 늘었다.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곳은 국제교류복합지구 도로개선사업 2공구(93.4점)와 1공구(92.8점)였다. 안전 관리 체계와 근로자 참여도 부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시는 높은 안전 점수를 받은 사업장에 점검을 면제하고 연말에 서울시장 표창을 수여할 계획이다.
반면 안전 점수 기준 미달(60점 이하)로 제재 대상이 된 현장이 1곳 있었다. 사고 예방을 위한 특별 점검과 현장 관계자 교육 등 개선 조치가 취해졌다.
시는 공정성과 투명성을 위해 앞으로도 매달 불시 평가를 이어간다. 결과는 ‘서울시 건설알림이’에 공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