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내 최대 노동조합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하 전삼노)가 새로운 노조 집행부를 선출했다. 지난 6월 기존 노조 집행부 전원 사퇴로 비상대책위원회로 전환한 지 3개월 만에 새 집행부를 구성한 것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전삼노는 지난달 20일부터 이날 오후 1시까지 진행된 노조 집행부 선출 온라인 투표 결과, 한기박 전삼노 기흥지부장(기호 1번)이 제4기 전삼노 위원장에 선출됐다.
이와 함께 한 위원장의 러닝메이트인 우하경 조합원은 수석부위원장으로, 이윤경 조합원은 사무국장으로 각각 선출됐다.
한 위원장은 이날 오후 2시 30분에 정식으로 전삼노 노조위원장으로 취임할 예정이다.
한 위원장은 경쟁 상대였던 김의신 평택대의원(기호 2번)과 득표율 격차가 5% 미만으로, 박빙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선거는 당초 지난달 27일까지 이뤄질 예정이었는데, 최소 투표율 기준인 50%에 미치지 못하면서 투표 기간이 6일 연장됐다.
한 위원장은 지난달 노조위원장 후보자 토론회에서 성과급, 임금, 복지 등 조합원들이 가장 관심이 큰 분야에서 합리적인 개선 방안을 끌어내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한 위원장은 특히 임금과 성과급 등 조합원들의 관심사에 적극 대처할 예정으로, 삼성전자 노사의 임협은 새로운 국면을 맞을 수 있다.
새 노조 집행부가 지난 6월 말 '성과급 개선 태스크포스(TF)' 및 '선택적 복리후생 TF'를 통해 사측에 제시한 성과급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해 사측과 추가 논의를 어떻게 이어가느냐도 관심거리다.
앞서 전삼노 등 삼성전자 노조는 성과급 TF를 통해 대표 성과급 제도인 '초과이익성과급(OPI)' 지급 최대 한도(연봉의 50%)를 해제하는 안을 사측에 전달했다. 초과 이익분 발생시 지급 최대 한도를 없애 별도 한도 없이 성과급을 지급하자는 내용이다.
OPI는 매년 회사가 집행하는 설비투자보다 더 많은 이익을 내야 직원들이 성과급을 받는 구조다.
전삼노는 이와 동시에 '목표달성장려금(TAI)'에 대해 지급률 상한선을 현행 100%에서 150%로 상향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TAI는 OPI와 함께 삼성의 대표 성과급 제도 중 하나로 상·하반기로 나눠 월 기본급의 최대 100%까지 지급한다.
사측은 현재 이 같은 요구안을 다각도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OPI와 TAI는 올해 말~내년 초 지급률이 결정되는 만큼 검토 결과가 나오기까지 시간이 더 걸릴 전망이다.
한편, 지난 1일 기준 전삼노의 조합원 수는 2만8679명이다. 전임 3기 집행부가 일부 노조 간부(전임자) 대상의 임금인상률을 포함한 임금 단체협약 내용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조합원 수가 빠르게 줄었다.
결국 지난달 기존 집행부 전원은 사퇴를 결정하고 전삼노는 비대위 체제로 전환했다.
업계에서는 최근 SK하이닉스 노사가 초과이익분배금(PS) 상한선을 없애고 영업이익의 10%를 인센티브 재원으로 지급하기로 합의하면서, 삼성전자 전삼노 집행부도 이와 비슷한 요구안을 사측에 제시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