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당초 불참 검토했던 국회 개원식과 인사청문회 참여
원내 투쟁에 필요시 장외 투쟁도 병행…상임위 보이콧 가능성도

국민의힘 장동혁 지도부가 단일대오를 앞세워 강력한 대여 투쟁을 예고하고 나섰다.
장 대표는 당권 도전 과정에서부터 “이재명 정부의 입법 폭주를 반드시 막아내겠다”는 기조를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정기국회를 앞두고 대응 전략을 구체화하는데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거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검찰개혁 법안을 비롯한 각종 쟁점 법안 처리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국민의힘의 대응은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되자 내란특별재판부를 설치하자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당초 불참을 검토했던 1일 정기국회 개원식에 참석하기로 했다. 보이콧 대신 현장에서 싸우는 정당의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계산이다.
또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교육·여가부 장관 인사청문회 등 주요 전선에 참여해 화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여당의 정책 추진에 대한 문제점을 부각시키고, 민심을 자극하는 쟁점 현안을 중심으로 비판 여론을 확산시키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예결위와 인사청문회외 상임위 보이콧 가능성은 열어둔 상태다.
장 대표는 상임위 보이콧 여부에 대해 “앞으로 어떤 상황이 벌어질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때그때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싸워나가겠다”고 밝혔다.
지도부는 필요할 경우 장외 여론전을 병행하는 방안도 열어두고 있다. 민주당이 국회 내 의석수를 앞세워 밀어붙이는 국면에서, 여론의 공감대와 지지층 결집이 투쟁 동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당내 일각에서는 무조건적인 대여 투쟁 일변도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민주당의 입법 강행을 완전히 저지하기는 어렵다는 현실론과 함께, 국회 운영 과정에서 불가피한 협상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도부가 예결위 등 특정 전선에 역량을 모으려는 전략 역시 협상 여지를 감안한 행보라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