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해 중 8월에 졸음운전 사망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 교통사고 통계에 따르면 2020~2024년 최근 5년간 발생한 졸음운전 교통사고는 9559건, 사망자는 252명이다, 이 중 8월에 발생한 사망자가 36명(14.3%)으로 월별 최다 수준이다.
졸음운전은 일반 교통사고보다 치사율이 높은 특징이 있는데, 8월은 4.13명으로 월별 치사율도 가장 높다.
속도가 높은 도로일수록, 가해운전자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집계됐다.
도로종류별 치사율은 고속국도 10.81명, 일반국도 6.55명, 지방도 4.04명, 특별·광역시도 0.86명 수준으로 속도가 높은 도로일수록 치사율이 높다. 고속주행 시에 졸음운전이 매우 위험하므로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8월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망사고 '가해운전자' 34명의 연령대는 60~69세 10명(29.4%), 30~39세 7명(20.6%) 순이다. 이 중 65세 이상 고령운전자는 11명(32.4%)으로 체력이 저하된 고령운전자가 졸음운전에서도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경찰청은 "8월은 고온다습하고 휴가철 장거리 운전으로 졸음운전이 우려된다"며 "운전자는 충분한 휴식과 수면 등 졸음운전 예방 안전수칙을 사전에 숙지하고 도로 위 교통안전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동승자 없이 단독 운전하는 경우에 졸음이 더 쉽게 찾아올 수 있다. 노래를 듣거나 주기적인 환기, 적절한 카페인 음료 섭취 등이 권고된다. 동승자가 탑승한 경우, 운전자와 가벼운 대화는 졸음운전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