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0 16:24 (수)
민주 "건강·생명보다 우선할 수 없어"…집단휴진 비판
상태바
민주 "건강·생명보다 우선할 수 없어"…집단휴진 비판
  • 배민욱 기자
  • 승인 2014.03.10 10: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주당은 10일 대한의사협회의 집단휴진에 대해 "명분과 정당한 요구도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우선할 수는 없다"며 자제를 호소했다.

또 원격의료와 의료영리화에 대한 비판에 나서며 정부와 여당에 '의료공공성 강화와 의료제도 개선을 위한 협의체' 구성을 수용하라고 압박했다.

김한길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사태의 근본적 원인은 국민과 소통하지 않는 박근혜 정부의 불통과 무능에 있다"며 "의료영리화 정책은 의료의 공공성과 국민의 건강권을 훼손하는 정책"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정부가 추진하는 자회사 영리법인 허용은 사실상 영리화 행위이며 의료비 인상으로 국민보험체계와 국민건강권에 악영향 미칠 것"이라며 "의료영리화와 원격진료는 의료 소비자인 국민이 바라는 바도 아니고 진료의 주체인 의사들이 바라는 것도 아니다. 의료계에 진출하려는 대자본이 필요로 하는 제도인 것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새누리당은 의료계 집단휴진에 대해 협의회 등을 열고 의사들을 공안의 대상으로 취급하면서 강경일변도로 대응해 사태 악화시켰다"며 "정부는 대화와 타협을 통해 원만한 사태의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회적 논란의 갈등은 대화가 유일한 해법"이라며 "정부와 여댱은 여야정과 의사협회 포함한 의료단체, 전문가, 가입단체가 포함된 '의료공공성 강화와 의료제도 개선을 위한 협의체' 구성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압박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도 정부와 새누리당을 향해 '의료공공성 강화와 의료제도 개선을 위한 협의체' 제안을 받아들이라고 촉구했다.

전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이번 사태가 극단으로 치닫지 않길 바랐지만 대한의사협회의 집단휴진 강행에 심각한 유감과 우려를 표한다"며 "염려되는 것은 정부의 불통과 의협과의 갈등이 극한에 이르렀는데 손 놓고 있는 집권여당의 무책임한 태도"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의 불통과 강경대응이 의사들마저 총파업에 합류하는 등 상황을 더 나쁘게 만들었다"면서 "엄정한 처벌에 앞서 정부는 근본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성찰과 반성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의협을 향해서도 "의료영리화 반대 주장의 진정성을 보다 더 알리기 위해서라도 집단휴진을 멈추고 대화와 사회적 합의를 통해 노력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