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은 14일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과의 남북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지금으로서는 (북한이) 너무나 예측 불가능한 상황이 됐기 때문에 우선 우리의 안보태세를 튼튼하게 하고 국민의 안위를 보호하는 것에 최우선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전날 청와대 접견실에서 이뤄진 CNN과의 인터뷰에서 장성택 국방위원회 전 부위원장 처형 이후에도 여전히 김 위원장과 만날 용의가 있냐는 질문에 "그것이 회담을 위한 회담이 아니고 뭔가 실질적인 남북관계의 진전이나 또는 평화증진을 위해 필요하다면 만나야 된다"고 전제한 뒤 이같이 답했다고 청와대가 전했다..
박 대통령은 "숙청과 장성택 처형 등 이런 일련의 사태가 정말 한국 국민들에게도 큰 충격을 줬고 세계인들을 경악하게 했다"며 "가뜩이나 북한은 예측불허한 나라인데 불허성이 더 높아진 것도 사실이고 그에 따라 한반도나 동북아 정세도 불안정성이 더 심화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장성택 처형과 관련해 '김 위원장의 통치력이 확고하다는 반증으로 보느냐, 아니면 권력 장악력이 매우 취약하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두 가지 가능성을 다 말씀드릴 수가 있을 것 같다"고 답했다.

최근 김관진 국방부 장관이 북한의 도발 가능성을 언급한 것에 대해서는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전문가들이 그런 평가를 내리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심각한 일이라 생각한다"며 "한 가지 분명한 것은 그런 도발에 대해서는 아주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대일 관계와 관련해서는 "일본과는 사실 올바른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해서 두 나라 관계가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해 나가고 또 자라나는 양국의 세대들에게도 뭔가 우호적으로 같이 힘을 합해 나갈 수 있는 미래를 남겨주길 저는 바라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그동안의 한일관계가 그전에 이렇게 쭉 발전해 올 수 있었던 것은 일본의 정치 지도자들이 고노 담화라든가 무라야마 담화 등을 통해 올바른 역사인식을 보여줬기 때문에 그것이 가능했다"며 "현재 일본 지도자들도 그런 것을 잘 기억해서 무라야마 또는 고노 담화를 승계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하고 진정성을 의심받게 하는 언행을 삼갔으면 좋겠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