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관광객의 피해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 달 중순부터 '바가지요금 피해보상제'를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바가지요금 피해보상제는 서울시관광협회 등 민간 관광업계를 중심으로 피해보상 기금을 조성해 운영하는 제도다.
관광불편처리센터에 바가지요금 피해신고가 접수되면 관광경찰과 시민 명예관광보안관이 현장을 확인하고 심의 절차를 거쳐 피해보상금을 지급하게 된다.
시는 또 2015년까지 홈페이지에 '도보관광코스 통합채널'을 구축하고 문화해설사를 500명까지 순차적으로 확대한다.
관광인프라 확충을 위해 수륙양용차량과 열기구 등을 관광상품으로 운영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서울형 우수관광상품 인증상품도 2018년까지 200개로 확대한다.
내년부터 매년 특정국가를 타깃으로 하는 '방한 관광객 맞이의 날'도 제정한다. 내년에는 '중국, 일본의 날'을, 2015년에는 '태국,말레이시아 날'을, 2016년에는 '인도네시아, 필리핀의 날'을 계획하고 있다.
시는 국제회의와 전시회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력 육성방안도 마련했다.
우선 2018년까지 동대문디자인플라자와 서울역 북부 컨벤션센터, 명동과 청계천 등을 연결해 '도심형 컨벤션 지구'를 육성한다.
또 2020년까지 도심권과 동남권, 서남권 등 3대 지역을 중심으로 현재 총 6만4000㎡ 규모인 전시·회의시설을 18만㎡까지 확대한다.
국제회의를 유치하는 협회나 학회에는 최대 1억원을 지원한다. 기업회의와 인센티브 관광을 유치하는 기업이나 여행사에는 최대 5000만원 지원한다.
이밖에 내년부터 국제회의·전시회 참가자 전용 할인카드를 도입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관광·MICE산업 마스터플랜을 통해 서울을 관광과 비즈니스 모두 적합한 도시로 만들어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이끌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