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19 16:21 (화)
南·北 이산상봉 실무회담, 오늘 판문점서 개최
상태바
南·北 이산상봉 실무회담, 오늘 판문점서 개최
  • 이원환 기자
  • 승인 2013.08.23 09: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북이 23일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 실무접촉을 갖는다.

이날 회담에서는 이산 상봉 행사의 장소·일시·규모 등 실무적인 문제와 더불어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 면회소 설치, 서신교환 문제 등이 폭넓게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봉 시기는 박근혜 대통령이 올해 8.15경축사에서 제안한 추석 전후가 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다만, 이산가족 명단 교환과 생사 및 소재확인 등에 소요되는 시간 등을 감안할 때 추석 이후에 상봉이 이뤄질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상봉 장소와 관련해 북한은 금강산을 제안한 상태이며, 우리 측은 아직 이에 대해 구체적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

이산가족 상봉 규모는 지금까지 치러진 18차례 행사 중 14회때 200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100명 규모였으나, 이산가족 상당수가 고령임을 감안해 우리측은 상봉 인원을 가급적 더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날 실무회담에 우리 측에서는 이덕행 대한적십자사 실행위원이, 북측에서는 박용일 적십자 중앙위원회 중앙위원이 각각 수석대표와 단장으로 대표단을 이끈다.

이산가족 상봉은 전두환 대통령 때인 1985년 당시 분단 후 처음으로 고향 방문이 이뤄진 이후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을 계기로 본격화됐다.

제3국을 통한 생사확인, 상봉 등 민간 차원의 이산가족 교류는 1988년의 7.7특별선언의 후속조치인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기본지침과 1990년 8월 제정한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시작됐다.

하지만 이산가족 상봉이 정부차원의 행사로 격상되며, 급진전된 계기는 분단 이후 55년만에 이뤄진 6.15 남북정상회담 개최였다.

6.15 남북공동선언 이후 남북은 2000년 한 해 이산가족방문단을 두 차례 교환했고, 이어 2003년 3차 적십자 실무접촉에서 이산가족 면회소를 금강산 지역에 설치하는 것에 남북 양측이 합의했다.

또 2005년에는 남북 이산가족 교류확대를 위해 화상상봉 방식을 도입하기로 합의했고, 이에따라 2005년 8월 15일에는 처음으로 화상상봉이 이뤄졌다.

남북 관계의 빙하기인 이명박 정부 들어서도 2009년과 2010년 추석을 계기로 상봉행사가 이뤄졌으나, 이 때를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상봉이 더 이상 이뤄지지 않고 있다.

남북의 이산가족들이 지금까지 18차례의 대면상봉과 7차례의 화상상봉을 통해 헤어진 가족들을 만났다. 남북 양측에서 4321가족, 2만1734명이 가족들과 상봉했다.

정부 주도의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지금까지 18차례 이뤄졌지만, 14회 때 200명을 제외하고는 참가자 숫자가 100여명 안팎으로 제한돼 이산 1세대들이 헤어진 가족들을 만나지 못하고 고령으로 사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05년부터 영상편지 사업도 시행하고 있다. 이는 이산가족 1세대 생전의 모습을 영상자료로 제작해 북측 유가족에게 전달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05년과 2008년 두 차례 시행됐다.

통일부에 따르면, 남측 신청자 7만2000여명은 아직도 가족을 만나지 못했고 이 가운데 80%가 70세 이상의 고령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정홍원 국무총리는 16일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이산가족의 아픔은 인간이 겪는 최악의 고통임을 남북이 함께 인식해야 한다”며 안타까움을 피력한 바 있다.

정 총리는 “통일부는 대통령께서 제안한 남북 이산가족 상봉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북 협의를 신속히 추진해 달라”며 “금년 추석뿐만 아니라 상시적 상봉이 이뤄지도록 적극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