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국회가 문을 열기까지 한 달 남짓 남은 가운데, 남은 20대 국회의 시계는 바쁘게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당장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통과를 위해 임시국회를 여는 동시에, 각당 원내 지도부 및 국회의장단 선출 등 새 국회를 위한 준비를 해야한다.
제21대 국회의원은 오는 5월 30일 임기를 개시한다. 20대 국회는 한 달 조금 넘는 시간이 남았다.
우선 20대 국회는 지난 16일 시작된 4월 임시국회 진행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관건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관련 2차 추경안 처리다.
정부가 소득 하위 70%를 대상으로 한정한 추경안을 냈는데, 여당은 전국민 100% 지급을 제안하고 있어 국회 심사 과정에서 추경 규모 등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의사 일정 협의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주 여야 협의를 거쳐 추경안 심사에 착수하고 이달 중 추경안을 처리, 이르면 5월께 전국민 대상의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겠다는 계획이다.
여야는 추경 편성 관련 오는 20일 정부의 시정연설을 진행하기로 했다. 다만 심의 처리 등 구체적인 일정에는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총선 완패로 통합당 지도부가 일시적 공백상태가 되면서 예상보다 추경 처리가 늦어질 수 있단 예측도 나온다.
5월 한 달 동안은 21대 국회 구성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각 당은 새로운 원내대표단 선출에 나선다.
민주당은 정책위의장을 맡은 조정식 의원과 사무총장인 윤호중 의원, 앞서 3번의 원내대표 경선에 나선 노웅래 의원 등이 거론된다.
통합당도 중진 의원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원내대표 후보군이 짜여질 것으로 예상된다.
새 원내대표단이 짜이면 국회의장단과 상임위원장단 등 원구성 협상이 진행된다.
관례상 제1당 최다선 의원이 맡는 국회의장은 과반 의석을 차지한 민주당 몫이 될 예정이다.
6선의 박병석 의원과 5선의 김진표, 이상민, 변재일 의원 등이 물망에 올라있다. 국회부의장에는 4선의 통합당 정진석·주호영 의원 등이 도전할 가능성이 있다.
의석수를 기준으로 16개 상임위원회의 위원장 자리를 나눠 가져왔던 관례에 비춰보면, 원구성 협상에서는 민주당이 유리한 위치에 있다.
다만 수세에 몰린 통합당이 주요 상임위원장 자리를 요구하며 협상에 난항이 생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협상이 길어질수록 21대 국회의 시작은 미뤄진다.
헌법 및 국회법에는 국회의원 임기 개시 후 7일에 최초 임시회를 열고 국회의장단을 선출하도록 돼 있다. 또 최초 임시회 소집일로부터 3일 내 상임위원장을 선출하도록 규정돼있다.
올해를 기준으로 보면 6월 5일 임시회 소집 및 국회의장단 구성을 마치고 6월 8일까지 상임위원장단 선출을 마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