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17 13:34 (일)
지방기업 10곳 중 9곳 "창조경제 필요"
상태바
지방기업 10곳 중 9곳 "창조경제 필요"
  • 엄정애 기자
  • 승인 2013.07.28 11: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방기업 93.6% "창조경제, 미래생존 경쟁력 강화 위해 필요"

지방기업 10곳 중 9곳은 창조경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절반 이상의 기업이 기술혁신, 산업간 융합 등 창조경제 관련 사업을 추진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2일부터 17일까지 수도권 이외의 지방 소재 제조기업 400개사(매출액 상위업체)를 대상으로 '창조경제 대응실태와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창조경제가 필요하냐는 물음에 '미래생존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답한 기업이 93.6%에 달했다.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6.4%에 그쳤다.

창조경제가 필요하다고 답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산업간 융복합, 기술혁신 등 창조경제 관련 사업에 나설 의향을 묻자 '의향이 있다'(61.1%)는 응답이 '없다'(38.9%)는 답변을 훨씬 웃돌았다.

창조경제 추진 의향을 밝힌 기업은 관심분야로 '기술혁신'(43.8%), '산업간 융합'(24.2%), 'IT, 소프트웨어(SW)와 접목'(15.8%), '디자인·콘텐츠 강화'(13.0%)등을 꼽았다.

창조경제 관련 사업 추진방식으로는 '정부사업 활용'(30.5%), '독자추진'(20.4%), '다른 기업과 공동투자'(19.8%), '유망기업 M&A'(12.2%)등을 선호했다.

반면 창조경제 추진 의사가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그 이유로 '투자자금 부담'(47.1%)을 우선적으로 꼽았다. 이어 '내부공감대 미흡'(15.0%), '생소한 개념으로 이해부족'(12.4%), '관련 제도 및 인프라 미비'(9.9%), '추진경험 부족'(9.2%), '기술력 낙후'(6.4%)등의 순이었다.

창조경제 활성화 걸림돌로는 수도권에 비해 취약한 연구개발(R&D)수준이라는 답변이 많았다. 수도권 동종업체에 비해 자사의 연구개발 수준이 '뒤쳐진다'는 응답이 50.1%에 달했다. '비슷하다'는 답변은 36.4%, '더 높다'는 답변은 13.5%로 조사됐다.

지방기업의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로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화 지원'(33.3%), '연구개발 금융지원 확대'(18.8%), '기술투자 세제혜택 강화'(17.6%), '기술인력 양성과 근무환경개선'(11.5%), '연구소 및 대학 역량 강화'(10.9%)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정부에 바라는 창조경제 실현 지원책으로는 '산학연, 기업간 협력풍토 강화'(20.9%), '융·복합화를 가로막는 규제개선'(19.8%),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회분위기 조성'(19.3%)등을 제시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1본부장은 "정부는 지방기업의 연구개발투자 자금과 세제 지원을 보다 강화하고 지방 기술인력에 양질의 교육기회를 부여하는 등 유인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지방정부도 창조경영 기업을 우대하고 기업가정신이 발현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데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