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18일 세부일정을 정한다.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는 이날 오전 10시30분부터 국회 본관 220호 회의실에서 3차 회의를 열어 기관보고 요구의 건, 서류제출 요구의 건, 증인출석 요구의 건 등을 의결한다.
이날 회의에는 야당 소속 위원들만 참석했던 지난 16일 회의와 달리 여당 소속 위원을 포함한 특위 위원 전원이 참석할 전망이다. 민주당 김현·진선미 의원의 사임을 요구하며 출석을 거부하던 새누리당이 두 의원의 위원직 사퇴에 호응해 특위 활동에 나서기로 했기 때문이다.
특위 위원장은 민주당 소속 신기남 의원이다. 새누리당 소속 특위 위원은 권성동·김재원·김진태·김태흠·윤재옥·이장우·경대수·김도읍·조명철 의원 등 9명이다. 야당 소속 국정조사 특위 위원은 정청래·박범계·박영선·신경민·전해철·김민기·박남춘(이상 민주당), 이상규(통합진보당) 의원 등 8명이다.
특위는 이날 기관보고 일정을 무리 없이 통과시킬 전망이다. 전날 여야 간사 협의에 따라 법무부 24일, 경찰청 25일, 국정원 26일 순으로 보고가 이뤄지게 된다. 다만 국정원 보고 시 회의를 공개할지 여부를 놓고는 여야 간사인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과 민주당 정청래 의원이 조율 중이다.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국정원 기관보고는 늦춰질 수도 있다.
청문회 증인·참고인 명단은 이날 확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전날 새누리당이 91명, 민주당이 117명 규모 명단을 제시한 탓에 조율이 필요하다. 명단이 확정되기 전까지 실명을 거론치 않기로 간사간 합의가 이뤄진 상태다.
특히 이번 국정조사의 핵심인물인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청문회에 출석할지는 미지수다.
민주당 정청래 간사는 "구속된 상태라도 출석 가능하다. 수갑 차고 국회에 온 다음 국정조사장 입구에서 수갑을 풀고 사복을 갈아입고 출석할 수 있다"며 현재 구속돼있는 원 전 원장의 출석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새누리당 권성동 간사는 "출석여부는 본인 선택사항이다. 불출석시 자동 고발 여부도 정해져있지 않다"며 불출석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