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가 14일 협동조합의 지방선거 동원 가능성을 놓고 의견차를 드러냈다.
새누리당 김용태 의원은 이날 tbs '열린아침 송정애입니다'와 통화에서 "협동조합기본법 제10조에는 '국가와 공공단체는 협동조합의 활동에 대해 적극적으로 협조해야 하고, 그에 사업에 필요한 자금 등을 지원할 수 있다'고 돼있다. 바로 이 부분이 자칫 잘못하면 정치적으로 동원되고 악용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협동조합이라는 이유 때문에 국가나 공공단체가 지원해야 된다는 규정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이것이 악용될 소지가 있다"며 "특히 내년에 지자체 선거가 있지 않냐. 지자체에서 협동조합을 정치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개연성은 충분하다. 이미 조짐도 일부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특히 박원순 서울시장을 겨냥, "2018년까지 8000개 협동조합을 만들겠다고 공언을 하고 있다. 이런 말 속에는 자발적으로 만들겠다는 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유도하겠다는 의지가 숨어 있다"고 공격했다.
반면 민주당 김성주 의원은 김 의원의 주장을 반박했다.
김 의원은 "박원순 시장이 재선되기 위해서 협동조합을 육성한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반대로 새누리당은 박 시장을 재선을 막기 위해 협동조합을 방해하겠다는 뜻이냐. 서울시에서 협동조합이 만들어지는 것을 박 시장 재선을 위한 조직이라고 봐야 되는 거냐"면서 "모든 문제를 선거와 지나치게 여당의 이해와 연결지어 해석하는 어이없는 견해"라고 지적했다.
또 "협동조합은 민주주의를 배우고 실천하는 장으로 많이 활용된 게 사실이다. 그런데 이런 민주주의 훈련을 정치적 목적으로 이해하고 반대한다면 새누리당은 시민들이 민주주의를 익히는 걸 두려워하는 것이라고밖에 생각이 안 된다"고 일침을 가했다.
아울러 "협동조합이라는 새로운 조직이 정치적으로 도움이 될 지 안 될지는 판단하기 어렵고 특정정치, 특정정당이 유리하고 불리하고를 따질 수 있는 것들이 아니다. 현직 단체장이, 시장이 자당 소속이 아니라고 해서 색안경을 끼고 보는 것은 올바른 자세가 아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