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퇴근길 ‘지옥철’로 불리는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동자들이 오는 30일부터 일부 구간 파업을 선언했지만 열차 운행은 정상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9호선 1단계 구간(개화역~신논현역)을 위탁운영하는 서울9호선운영은 27일 “파업시에도 출퇴근 러시아워 등 모든 열차는 정상적으로 운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이날 오전 서울9호선운영노동조합은 서울 중구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단계 구간에 한해 30일 오전 4시부터 6일간 1차 ‘경고파업’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그러면서 오전 7시~9시까지 출근시간대에만 열차를 정상운행하고 오전 9시~오후 5시엔 50%, 오후 5시~7시엔 85% 등 일부 시간대 운행 중단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서울9호선운영 관계자는 “지하철 등 필수공익사업장에선 파업을 하더라도 필수유지업무 인력을 남겨야 한다”며 “여기에 회사 내외부에서 대체인력을 투입해 지하철을 정상운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서울9호선운영은 열차운행 정상화 및 고객 불편 최소화를 골자로 한 비상수송대책을 수립하고 노조 파업 돌입시 즉각 시행하기로 했다.
한편 서울9호선운영은 “원만한 협의를 위해 노사간 교섭을 추진하겠다”면서도 노조의 인력난과 높은 노동강도 등 일부 주장엔 반박했다.
사측은 “노선별로 열차운행시스템 등에 따라 운영방식과 근무방식에 일부 차이가 있어 운영사간 단순비교는 다소 무리가 있다”며 “9호선 기관사는 자동운전시스템을 기반으로 출입문 취급, 안내방송, 이례상황 시 초동조치위주의 업무만 수행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월평균 노동시간이 160시간인 점을 고려하면 서울교통공사 기관사(월평균 165시간)보다 연간 60시간 적게 근무한다는 게 사측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