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1:52 (목)
韓 근속기간·학력별 임금격차, 유럽보다 높아
상태바
韓 근속기간·학력별 임금격차, 유럽보다 높아
  • 송혜정 기자
  • 승인 2017.07.04 1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근속기간·성별을 기준으로 한 임금격차 부문에서 우리나라가 유럽 24개국에 비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한국과 유럽(24개국)의 근로자 인적특성(근속·학력·성)별 임금격차를 분석해 발표한 '한-EU 임금격차 현황 비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국의 근속연한 기준(20~29년 대비 1년미만) 근로자간 임금격차는 4.04배로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임금 격차가 가장 컸다. 남성-여성 근로자간 임금격차도 1.58배로 다른 유럽국가와 비교할 때 제일 큰 것으로 조사됐다.

 '2014년 한-EU 총 25개국 중 근속 20~29년과 1년미만 근로자간 임금격차가 큰 국가는 한국(4.04배), 키프로스(2.44배), 포르투갈(2.09배), 스페인(1.80배) 등의 순이었다. 한국은 관리자 직종을 제외하거나, 정규직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경우에도 근속 20~29년-1년미만 근로자간 임금격차가 각각 3.97배, 3.29배로 높게 나타났다.

 한-EU 총 25개국 중 근속 15~19년과 1년미만 근로자간 임금격차를 비교했을 경우 격차가 큰 국가는 한국(3.33배), 키프로스(2.04배), 포르투갈(1.81배), 독일(1.67배) 등의 순이었다.

 한-EU 총 25개국 중 근속 10~14년 대비 1년미만 근로자간 임금격차가 큰 국가는 한국(2.72배), 키프로스(1.84배), 포르투갈(1.62배), 네덜란드(1.58배) 등의 순이었다.

 '2014년 한-EU 총 25개국 중 남성과 여성 근로자간 임금격차가 큰 국가는 한국(1.58배), 에스토니아(1.42배), 영국(1.37배), 체코(1.34배) 등의 순이었다. 한편 남성-여성 근로자간 임금격차가 작은 국가는 루마니아(1.06배), 룩셈부르크(1.06배), 슬로베니아(1.09배), 벨기에(1.14배) 등의 순이었다.

 '2014년 한-EU 총 25개국 중 대학원이상과 중졸이하 근로자간 임금격차가 큰 국가는 루마니아(3.20배), 헝가리(3.18배), 독일(2.87배), 슬로바키아(2.87배), 한국(2.81배) 등의 순이었다.

 한-EU 총 25개국 중 전문대·대학-중졸이하 근로자간 임금격차가 큰 국가는 루마니아(2.63배), 포르투갈(2.41배), 헝가리(2.25배), 독일(2.08배), 룩셈부르크(1.98배) 등의 순이었다.

 한-EU 25개국 중 고졸-중졸이하 근로자간 임금격차가 큰 국가는 독일(1.52배), 슬로바키아(1.51배), 오스트리아(1.43배), 한국(1.40배), 체코(1.35배) 등의 순이었다.

 한경연은 "한국은 직무급이 정착된 유럽과 달리 아직 호봉급이 49.9%로 지배적이라, 한국의 근속별 임금격차(1.59~4.04배)는 근속 전구간에서 독일(1.11~1.80배), 영국(1.16~1.60배), 프랑스(1.15~1.54배) 등 주요국보다 높은 수준이다"고 말했다.

 또한 "임금결정 기준을 현재의 근속연수 중심에서 직무·능력으로 개편하면 근속연수에 따른 임금불평등이 개선되고 출산, 육아 등으로 근속이 짧은 여성에 대한 임금불평등도 자연스럽게 완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