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1:52 (목)
"중도금 대출 연체율·부실채권비율, 주담대보다 2배 높아"
상태바
"중도금 대출 연체율·부실채권비율, 주담대보다 2배 높아"
  • 송혜정 기자
  • 승인 2017.06.27 10: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은행권 집단대출 중도금의 연체율과 부실채권비율이 주택담보대출 평균보다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더불어민주당 김영주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은행권 집단대출 중도금 연체율은 0.42%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평균 연체율(0.20%)보다 2배 이상 높았다.

 같은 기간 부실채권비율 역시 집단대출 중도금의 경우 0.42%로 주택담보대출의 부실채권비율(0.22%)보다 2배 가까이 높았다.

 정부는 집단대출 중 잔금대출의 경우 올해 1월부터 여신심사가이드라인을 적용한데 이어 청약조정지역에 한해 DTI(총부채상환비율)를 50%로 제한하기로 했다. 그러나 중도금 대출은 DTI는 물론 여신심사가이드라인도 적용되지 않는다.

 집단대출은 중도금 대출뿐 아니라 전체 대출의 연체율(0.28%)과 부실채권비율(0.30%) 모두 주택담보대출보다 높은 수준이다.

 김영주 의원은 "집단대출을 포함 전체 가계대출의 연체율이 하락하는 추세에 있으나 이는 상환능력이 제고된 측면보다 오랜기간 지속된 저금리에 기인한 측면이 크다"며 "금리인상이 본격화하면 연체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상환능력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고 집행된 집단대출의 부실 가능성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