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대 손보사 3분기 누적 순익 1조9721억원…전년比 26% 증가
실적 발목 잡은 자동차 손해율 큰 폭으로 감소
손보사 "보험료 인상은 누적된 손해 정상화 하는 과정"
지난해 금융당국의 보험 자율화 이후 국내 주요 손해보험사들의 순익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료 인상으로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낮아진 것이 주요했다.
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 동부화재, 현대해상, KB손보, 메리츠화재 등 5개 손보사의 1~9월 누적 순이익은 총 1조9721억원으로 전년(1조5648억원) 대비 26% 증가했다.
업계 1위인 삼성화재의 3분기 누적 순익은 전년 동기(7097억원)보다 459억원(6.5%) 증가한 7556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동부화재의 순익은 4193억원으로 1년 전(3492억원)보다 701억원(20%) 늘었다.
현대해상은 44.4%(1035억원) 증가한 3368억원, 메리츠화재는 62.8%(856억원) 뛴 2218억원의 이익을 냈다.
KB손보는 1364억원에서 2386억원으로 1022억원(74%) 불었다.
일부 손보사는 3분기 들어 실적 개선이 더욱 가파른 양상을 보였다.
삼성화재의 순익은 2분기 2313억원에서 3분기 2400억원으로 뛰었고 현대해상은 1분기 917억원, 2분기 1071억원 3분기 1379억원으로 증가세가 이어졌다.
올 들어 손보사들의 실적이 일제히 개선된 것은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어서다. 작년 하반기부터 이어진 보험료 인상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손해율은 보험사가 거둔 보험료에서 고객에게 지급한 보험금이 차지하는 비율로 수치가 낮을수록 보험사에게 돌아가는 이익이 커지게 된다.
삼성화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누적 기준으로 지난해 3분기 80.5%에서 올해 3분기 78.5%로 2% 포인트 하락했다.
동부화재는 같은 기간 86.6%에서 80.6%로 1년 새 6%포인트 낮아졌고 9월에는 77.3%까지 내려갔다.
KB손보도 86.4%에서 80.0%로 6%포인트 이상 하락했고, 현대해상은 1분기 82.2%에서 3분기 80.5%로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삼성화재 현대해상 동부화재 KB손보 등 상위 4개 보험사 기준으로 연간 자동차보험에서만 3000억~4000억원 정도의 이익 개선이 이뤄질 것이라는게 증권업계 관측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상반기 기준으로 전체 손보사의 자동차보험 수입보험료는 11.2% 증가했고 일반·장기보험도 성장세를 유지했다. 손해율은 83.1%로 1년 전(84.6%)보다 1.5%포인트 하락했다.
업계 관계자는 "범퍼 긁힘 등 경미한 자동차사고는 수리비만 지급하고 렌트비 지급 기준을 정비하는 등 제도 개선과 함께 보험료 인상이 맞물려 실적이 개선됐다"고 말했다.
이어 "손보사가 자동차보험에서 적자를 보지 않으려면 손해율이 적어도 78%를 밑돌아야 한다"며 "최근 1년간의 보험료 인상은 누적된 인상 요인을 반영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손해율을 정상화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