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는 2012년 예산을 4610억6311만원으로 편성했다.
일반회계 3721억7521만원, 특별회계는 888억8790만원으로 전년도에 비해 458억1835만원 (11%)이 증가했다.
시는 올해 예산을 건전재정 실현을 위한 재원배분의 합리성과 효율성에 중점을 두고 편성했다고 밝히고, 특히 교육·문화·체육·노인복지·보육시설 등 시민 생활에 밀접한 부문과 미래경쟁력,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했다.
그리고 도시기반시설 확충을 위한 도로개설·환경·청소·공원녹지·교통 분야와 시민의 생명과 재산에 직결된 재난예방예산 등에 예산을 내실 있게 편성했다.
□ 복지·일자리사업 확대
광명시 전체인구 8.29%를 차지하고 있는 노인들의 노후생활안정과 미래주역인 청소년의 건전한 육성,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복지예산을 지난해 보다 14.91% 증가한 1190억원을 편성했다.
기초생활보장 생계 및 주거급여 등에 191억원, 장애인활동지원 및 취약계층지원사업에 102억원, 노인일자리지원 및 청소년수련관 건립 등 노인·청소년부문에 320억원을 반영했다.
특히 시는 보육 및 일자리사업에 중점을 두고 영유아보육료 267억원, 결식아동급식 및 만5세 누리과정 등 보육 및 여성부문 예산으로 216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그리고 공공근로사업과 시에서 독자적으로 추진하는 새희망 일자리사업에도 21억9000만원을 반영했다.
□ 만5세 유치원·어린이집 무상급식
수능 성적 분석 결과 지자체 교육투자비가 학생들의 성적 향상으로 연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교육지원예산을 내실 있게 반영했다.
광명혁신교육지구사업, 자기주도학습 및 코칭교육·교육환경 개선사업·영어체험교실·초등학교 전학년과 유치원(만5세) 무상급식·저소득자녀 무상급식 지원·학교급식센터 운영·꿈나무 안심학교 운영, 배움터지킴이 운영 지원 등으로 122억9138만원을 편성했다.
또한, 시민의 평생학습과 지역사회 학습능력 제고를 위한 평생학습 순환시스템 및 평생교육 인프라 구축·학점은행제·문해교육·시민나눔마당 등으로 9억9290만원과 철산동 시립도서관 및 공공업무시설에 67억원의 예산을 반영했다.
□ 공원조성과 재해예방사업
시민에게 쾌적한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생활이 편리한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지역개발 분야에 357억4850만원을 반영했다.
도심속 생활권공원 확충과 숲다운 숲 가꾸기·학교 숲 조성·테마꽃길·등산로정비·사방사업 및 근린공원관리 등으로 51억원, 목감천 및 안양천에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도로 연결 개설공사에 10억5000만원을 편성했다.
그리고 밤일지구 도시개발사업비로 27억5000만원, 맑은물 공급을 위한 노후관 교체공사 10억원, 하수관거정비사업비 46억원을 편성했다.
또 시민의 생명과 재산과 직결된 재난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침수방지공사 및 변압기·펌프 교체 등 배수펌프장 관리비로 28억2000만원을 각각 반영했다.
□ 문화축제 및 생활체육 지원
시민들이 함께 보고 즐기고 참여하는 문화향유 기회 제공과 시민 체육을 위한 문화 및 관광 분야에 160억원을 반영했다.
오리(청렴)문화제·구름산예술제·광명농악대축제, 봄꽃 축제 등에 4억6000만원,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시립예술단을 통한 시민어울림 공연을 위한 찾아가는 즐거운 음악여행·시민과 함께하는 거리공연 등에 2억3600만원, 광명뮤지컬단공연·광명오페라단공연·우수전통민속 보존사업비 등에 3억3900만원을 편성했다.
체육인구 저변확대와 체육행사 및 생활체육보조지원 21억2899만원, 직장운동경기부 운영에 14억9천300만원, 체육시설관리비로 4억1000만원을 반영했다.
□ 저탄소 녹색성장사업 추진
친환경 도시형주말농장 및 안터생태학습장 운영 등에 2억145만원, 경유자동차 배출가스 저감사업비 13억3600만원, 생활폐기물자동집하시설운영비 11억원, 청소사업 및 음식물쓰레기처리비 등으로 136억원, 자원회수시설운영비 77억5000만원을 각각 편성했다.
□ 어린이보호구역 대폭 정비
도로공사 예산으로 시흥대교 확장공사 94억7000만원, 도로개선 비용으로 2억원,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등으로 27억1000만원,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 운영비로 2억6200만원을 편성했다. 또 어린이 교통안전을 위해 어린이보호구역 개선 등 6억1200만원을 반영했다.
□ 12세 이하 국가필수예방접종 전액 무료
시민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기 위해 보건 분야에 100억6124만원을 반영했다.
암 조기검진사업 2억900만원, 희귀난치성의료지원비 4억1600만원, 모자보건 및 출산장려 사업비로 3억9470만원을 편성했다. 그리고 인플루엔자 등 무료예방접종과 예방중심 질병관리비로 22억6507만원을 반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