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9 15:48 (수)
서울지하철노조 "상왕십리역 추돌사고, 이명박·오세훈 시절 전개된 구조조정 탓"
상태바
서울지하철노조 "상왕십리역 추돌사고, 이명박·오세훈 시절 전개된 구조조정 탓"
  • 임종명 기자
  • 승인 2014.05.07 17: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지하철노동조합이 지난 2일 발생한 상왕십리역 전동차 추돌사고에 대해 "이명박, 오세훈 시장 시절 무차별적으로 전개된 구조조정 탓"이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7일 성명서를 내어 "안전운행 시스템 전반에 심각한 적신호가 켜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현재 2호선은 1·3·4호선과 달리 기존 ATS(열차 자동정치장치)에 ATO(열차 자동운전장치)가 병설돼 운행 중"이라며 "ATO는 현 2인 승무체제를 단독 승무나 무인운전으로 바꾸겠다는 취지로 2000년대 초부터 개량 사업이 진행된 것으로 운용 초기부터 잦은 장애를 일으켰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병행 운용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노후 전동차 교체도 규제완화와 예산제약으로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법으로 정해놓은 전동차 내구연한 규정은 당초 15년에서 25년으로 연장돼 오다 이명박 정부 시절엔 최대 40년까지 늘려버렸다"며 "그것도 모자라 규제완화를 부르짖는 박근혜 정부는 올해 3월 내구 연한 규정을 아예 폐지해버렸다"고 말했다.

또 "전동차 정비 인원은 정비 주기 확대와 비정규직 대체 방식으로 2000년 이후 10년간 무려 600여명을 감축했다"며 "노후 전동차가 늘어날수록 전동차 정비를 더 강화해야함에도 도리어 정비 주기를 늘려버리는 식으로 사고 위험을 가중시켜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는 "원인규명은 뒷전인 채 엄벌조치만 되뇌거나 '특별점검 강화' 따위의 사후약방문식 대책을 늘어놓는 일을 반복해선 안된다"며 "사고에 대한 철저한 원인조사와 함께 재발방지책이 엄정하게 마련되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끝으로 "이번 사고로 부상을 입은 승객들과 불편을 겪은 시민들에 송구스러움과 위로의 마음을 드린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