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이슈 많은 산단·하류 염해 체계적인 관리"

전북에서 시작해 전남·경남을 가로지르는 섬진강의 체계적인 물관리를 위한 섬진강유역환경청 신설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21일 영산강유역환경청 등에 따르면 섬진강은 전남과 전북, 경남 지역 15시군에 걸쳐 넓게 분포해 있다.
전북에서 시작한 섬진강은 보성강 지류와 만나 전남 광양·경남 하동을 거쳐 다도해까지 이어진다. 섬진강의 길이는 212㎞다. 유역 면적은 4,948㎢로, 영산강(길이136.66㎞·면적3467㎢)규모 보다 크다.
섬진강은 현재 영산유역환경청에서 전북 남원에 사무실을 두고 관리하고 있다.
영산강환경청이 전남과 광주, 경남 하동과 제주 등 4개 광역 지자체의 넓은 행정 구역을 담당하다 보니 섬진강만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청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신설 요구는 지난 2020년 집중호우로 섬진강이 범람, 전남 구례에 직간접적으로 수해를 미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환경단체와 지역 주민들은 집중호우 등 기후변화에 발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서 별도 관리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단이 밀집한 광양만권의 체계적인 관리와 바다와 강이 만나는 기수 지역 환경 보존 필요성도 강조했다.
광양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특히 광양만권은 국가산단이 밀집해 산단 사고, 대기·수질오염 문제가 항상 발생하고 있지만 영산강환경청과 지리적으로 접근성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또 "다양한 생물이 살아가는 기수 지역의 생태계를 전문적으로 관리해 희귀종을 보호해야 한다"고 밝혔다.
섬진강 유량 부족 문제도 지적했다. 섬진강 물이 전북 지역에서는 농업 용수, 하류에서는 전남 동부권 산단 공업 용수로 사용되면서 유량이 크게 줄어 염해가 우려된다는 것이다.
김창승 섬진강수해극복 구례군민대책본부 상임대표는 "섬진강 수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해 광주·전남 생활·공업용수 공급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근에는 광양시와 곡성·구례군 의회에서도 '섬진강유역환경청 신설 유치 결의안'을 채택하며 신설 촉구에 힘을 실었다.
환경부는 섬진강유역환경 신설 요구에 대해 내부 검토중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섬진강유역환경청 신설과 관련해 현재 아무것도 정해진 것이 없다"며 "설립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